인터넷 세상 '월드와이드웹(WWW) 개념'이란?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인터넷 세상을 만든 버너스-리(Berners-Lee)의
월드 와이드 웹(WWW)
통신과 컴퓨터 과학의 발달은 21세기 인류로 하여금 인터넷이라는 놀라운 도구를 사용하여, 인간과 인간, 인간과 정보 사이에 접촉하는 새로운 방법과 제도를 만들었다. 인류는 이 세상에 알려진 모든 정보, 이를테면 책, 신문, 문헌, 서류, 도표, 그림, 방송 영상, 음향, 멀티미디어, 전자 우편 등(이를 hypertext라 부름)을 몇 차례의 마우스 클릭으로 잠간 사이에 찾아, 원하는 상태로 재생하여 보고,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정보를 그대로 다른 사람(곳)에게 전달하거나 저장까지 해둘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인터넷은 전화와 TV까지 끌어들여 영상회의를 하고, 원거리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여러 사람이 단체로 채팅까지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었다.
인체의 신경은 뇌를 중심으로 인체 모든 곳에 연결되어 정보가 오고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신경 네트워크’라 부른다. 오늘날 개인이나 기관의 모든 컴퓨터(휴대 전화기까지)는 마치 신경 네트워크처럼 전 세계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다. 사람들은 이런 것을 ‘컴퓨터 네트워크’라 부른다.
세계를 변화시킨 인터넷은 바로 지구적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이라는 놀라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 세계가 통일된 시스템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미국의 인터넷 개발은 우주개발 경쟁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1960년대 말에 이르러 미국은 세계에 흩어진 주요 연구소와 군사기지 사이에 중요한 정보를 인공위성을 중계로 교신할 수 있는 아라파네트(ARAPANET)라 불린 초기 인터넷 시스템을 개발했다. 아라파네트 개념을 처음 개발한 과학자는 UCLA의 컴퓨터 과학자 레너드 클라인로크(Leornad Kleinrock 1934- )였다. 그는 ‘큐잉 이론’(queueing theory)이라는 자신의 수학 이론으로 아라파넷을 개발했다. 이후 더욱 개선된 인터넷 시스템은 20여 년 동안 세상에 노출되지 않고 있었다.
전 지구인의 인터넷 시대가 열리기까지는 수많은 과학자와 기술자의 발명 발견과 노력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로서 미국 MIT 교수이기도 했던 티머시 버너스-리(Timothy Berners-Lee 1955- )와 동료 과학자인 벨기에의 로베르트 가일리안(Robert Gaillian 1947- ) 등은 월드 와이드 웹(WWW)을 개발한 영웅이다. ‘WWW 컨소시엄’의 대표이며, ‘WWW 재단’ 설립자로 활동하는 버너스-리는, 1990년에 개발한 WWW를 1994년부터 로열티 없이 누구나 사용하도록 개방했다. 과학자의 지혜와 노력이 전 인류로 하여금 21세기에새로운 미래를 열도록 인도한 것이다.
영국이 자랑하는 과학자 버너스-리는 인터넷 시대를 열게 한 공로로 2004년 엘리자베스 여왕으로부터 나이트 작위를 받았다.
공룡을 멸종시킨 '운석충돌설'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공룡을 멸종시킨 원인에 대한 '운석 충돌설' 고생물학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