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오로라' 태그의 글 목록

오로라 4

천왕성 자전의 비밀 허블이 풀었다···40년 만에 새 기준 제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자전축과 자기장이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 구조와 회전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국제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의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천왕성의 자전 속도를 사상 최고 정밀도로 측정했다. 이 결과는 천왕성 자기장의 동역학 연구와 향후 탐사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왕성 자전 속도, 허블 망원경으로 정밀 측정천왕성은 특이한 자기장과 자전축을 가진 행성으로, 내부 자전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랑 라미(프랑스 파리 천문대 LIR..

과학 상식 2025.04.16

오로라 관측, 민간 우주비행사 4명이 극지 궤도에서 기록한 첫 실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난달 31일에 발사된 스페이스X의 Fram2 임무가 현재 극지 궤도를 따라 비행 중이다. 이 궤도에 탑승한 민간 우주비행사들은 남극과 북극 상공을 오가며 고위도 대기에서 발생하는 오로라를 관측하고, 고해상도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위성 관측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세부 구조와 변화 양상을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장비로 실시간 수집하는 실험이다. 이번 임무는 지상의 시민 관측자들과도 연계된 동시 관측 실험으로, 오로라 연구 방식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오로라 구조, 위성으로는 볼 수 없던 세부 포착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가..

과학 상식 2025.04.14

전자가 에너지를 흡수한 여기 현상(excitation)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핵 주변을 돌고 있는 소립자의 하나인 전자는 음전하(-)를 가졌고, 양성자 무게의 1,836분의 1에 불과하며, 무게조차 없다는 가장 작은 존재이지만, 우주의 모든 전기를 만들고, 자기(磁氣)를 형성하며, 열을 전도하고, 온갖 화학반응과 물리현상에서 주역을 하며, 광합성을 하는 것도 그들이다. ​전자기와 관련된 온갖 과학법칙들은 대부분 전자가 가진 성질을 설명한다. 전자는 전 인류가 사용하는 모든 전력의 주체이고, 구름의 방전 현상인 번개의 원인이다. TV를 비롯한 온갖 전자기구, 전기분해, 배..

과학 상식 2025.02.06

오로라를 보기 좋은 시기와 최고의 여행지 5곳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밤하늘에 다채로운 불빛이 커튼처럼 펼쳐지는 광경을 본 적이 있는가? 이 현상을 오로라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오로라를 관측하기 힘든 지역이다. 오로라는 주로 북극에 인접한 위도에 사는 주민들이 볼 수 있는 신비로운 현상이다.오로라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이번 기사에서는 오로라가 생기는 과학적 원리와 함께 오로라를 관찰하기 가장 좋은 시기와 여행지를 소개한다. 오로라는 어떻게 생길까?​오로라는 태양과 지구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탄생한다. 태양에서 고온의 플라즈마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데, 이를 태양풍이라고 부른다. 태양풍은 양성자와 전자로 구성된 입자 흐름으로, 초속 1,000km라는 엄청난 속도로 우주..

과학 상식 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