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상식

'전원 여성 우주비행사' 블루오리진, 그 숨겨진 이야기

sciencewave 2025. 4. 16. 10:47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1963년, 러시아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가 여성 단독 우주비행에 성공한 이후, 오직 여성 승무원만으로 이뤄진 우주 비행은 다시 한 번 이뤄진 적이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블루오리진(Blue Origin)이 올해 봄 계획하고 있는 전원 여성 우주비행은 우주개발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비행에는 팝스타 케이티 페리, 방송인 게일 킹, 프로듀서 케리앤 플린, 전 NASA 과학자 아이샤 보위, 시민권 운동가 아만다 응우옌, 언론인 로렌 산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름을 알린 여성들이 승무원으로 참여한다. 블루오리진은 이들을 통해 "별을 향해 도전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며, 특히 젊은 세대 여성들에게 꿈을 향한 용기를 불어넣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표면적으로는 긍정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이번 비행의 이면에는 보다 복잡한 현실이 존재한다.

 

 

 

메이 캐럴 제미슨은 우주에 간 최초의 흑인 여성이다. [사진=NASA]

 

 

블루오리진 성공 서사의 이면: 특별함을 요구받은 여성 우주비행사들

여성 우주비행사들의 회고록을 살펴보면, 이들이 단순히 꿈을 이룬 주인공이 아니라 끊임없이 자신을 증명해야 했던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 우주비행사 캐서린 콜먼은 2024년 출간한 회고록에서 남성 체형에 맞춰 제작된 우주복을 착용해야 했던 경험을 기록했다. 그녀는 "우주복이 맞지 않아도 그냥 입고, 기대 이상으로 해내야 했다"고 회상하며, 시스템의 한계를 스스로 극복해야 했던 현실을 보여준다.

 

흑인 여성 최초의 우주비행사 메이 제미슨 역시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언젠가는 여기 있을 줄 알았다"고 밝히며, 자신을 '예외적 존재'로 규정하는 방식을 통해 자신의 성공을 설명했다. 이처럼 여성 우주비행사들은 자신이 '운명 지워진' 인물임을 강조함으로써, 구조적 한계를 뛰어넘어야 하는 부담을 견뎌야 했다.

 

 

블루오리진

 

 

블루오리진 전원 여성 비행, 모두를 대변할 수 있을까

이번 블루오리진 전원 여성 승무원들도 대중의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들이 단순히 개인적 노력만으로 이 자리에 오른 것은 아니라는 점이 드러난다. 승무원들은 각자 다른 경력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뛰어난 명성과 사회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우주왕복선을 조종하고 지휘한 최초의 여성 파일럿, 아이린 콜린스 역시 회고록에서 "현재와 미래의 여성 파일럿들이 나를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완벽해야 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이는 '최초'가 된 여성들이 감내해야 하는 기대와 압박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블루오리진 비행 역시 여성 우주비행의 상징으로 남을 수 있지만, 이 경험이 보편적 여성의 현실을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극소수의 특권적 성공을 통해 전체를 대표하는 듯한 메시지를 보내는 데 그칠 위험이 있다.

 

과학과 우주비행 서사,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

과학자들의 회고록은 종종 개인적 감정과 실패를 진솔하게 드러내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치밀하게 다듬어진 이미지에 가깝다. 블루오리진의 이번 비행 역시 "별을 향해 도전하라"는 메시지 아래, 복잡한 현실을 부드럽게 포장하고 있다.

과학과 우주비행을 성공과 비범함의 서사로만 소비하는 방식은 분명한 한계에 부딪혔다. 진정한 변화는 극소수의 성공 사례를 넘어, 다양한 배경과 현실을 반영하는 서사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앞으로 과학과 우주비행의 이야기는 특권적 소수의 경험이 아니라, 더 많은 삶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

 

 

 

초거대 발톱을 가진 공룡, 테리지노사우루스 신종 발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몽골 고비 사막은 백악기 후기에 다양한 공룡들이 서식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