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허블 우주 망원경이 9개의 고리를 지닌 거대 은하 ‘황소눈 은하(Bullseye Galaxy)’를 발견했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은하 중 가장 많은 고리를 가진 사례로, 천문학계에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다. 연구진은 약 5천만 년 전 왜소은하의 충돌로 인해 이처럼 정교한 다중 고리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LEDA 1313424는 지름이 25만 광년에 달하는 거대 은하로, 이는 우리 은하(Milky Way)의 약 2.5배 크기에 해당한다. 예일대학교 박사 과정 연구원인 이마드 파샤(Imad Pasha)가 HST 데이터를 분석하던 중 8개의 고리를 확인했으며, 이후 하와이의 케크 망원경(W. M. Keck Observatory)이 9번째 고리를 추가로 발견했다.
이 일러스트는 정면에서 본 ‘황소눈(Bullseye)’이라는 별칭이 붙은 거대한 은하를 보여준다. 점선 원은 각각의 고리가 위치한 곳을 나타낸다. 이 고리들은 약 5천만 년 전 한 파란색 왜소은하가 중심을 뚫고 지나가면서 연못에 퍼지는 물결처럼 형성되었다. [자료=NASA, ESA, Ralf Crawford(STScI)]
천문학자들은 이처럼 정교한 다중 고리가 형성된 원인이 5천만 년 전 왜소은하의 충돌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 왜소은하는 LEDA 1313424의 중심을 정밀하게 관통하면서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켰고, 이 충격파가 퍼져나가며 가스와 별이 밀집된 고리를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은하 충돌 후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가 생성되는 사례는 보고된 바 있지만, 완벽한 형태의 9중 고리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 은하(Milky Way)와 거대한 은하 LEDA 1313424(황소눈 은하, Bullseye)의 크기를 비교한 것.
우리 은하 지름은 약 10만 광년, 황소눈 은하는 약 25만 광년에 달해 우리 은하보다 거의 2.5배 더 크다.
[자료=NASA, ESA, Ralf Crawford(STScI)]
우주의 또 다른 퍼즐 – 10번째 고리의 가능성
흥미로운 점은, 연구진이 10번째 고리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는 것이다. 현재 기술로는 너무 희미해 관측할 수 없지만, 보다 정밀한 관측 장비가 동원된다면 추가적인 고리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발견은 우주에서의 은하 충돌이 가져오는 장기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되며, 기존의 은하 형성 모델을 확장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천체 물리학 저널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게재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LEDA 1313424의 기원과 형성 과정이 더욱 구체적으로 밝혀질 전망이다.
양파 썰 때, 눈물 안 나게 하는 과학적 방법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양파를 썰 때 눈물이 난다면, 냉장고를 이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북목 오래되면, 뇌 건강에 어떤 변화가? (0) | 2025.03.10 |
---|---|
단백질(프로틴)과 아미노산의 차이 (0) | 2025.03.10 |
양파 썰 때, 눈물 안 나게 하는 과학적 방법 (0) | 2025.03.10 |
우주의 끝은 어디인가?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할까 (0) | 2025.03.10 |
눈이 없어도 색을 보는 동물이 있다? (1)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