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행성' 태그의 글 목록

행성 16

3000도 행성 WASP-121b, 탄생지는 차가운 외곽이었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초고온 외계 행성 WASP-121b가 사실은 훨씬 차가운 지역에서 형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행성은 지구보다 훨씬 크고, 목성과 비슷한 크기의 가스 행성이다. 지금은 별에서 아주 가까운 거리(별 지름의 약 두 배)에서 30.5시간마다 한 바퀴를 돌고 있으며, 낮면은 3000도 이상, 밤면도 1500도에 달하는 극단적인 온도를 보인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이용한 관측 결과, 이 행성의 대기에서는 수증기, 일산화탄소, 메탄, 이산화규소 같은 여러 기체 분자가 발견됐다. 이 중 메탄은..

천문학 2025.06.12

2017 OF201, 태양계 바깥서 발견…2만 5천년에 한 바퀴 공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태양계 끝자락, 해왕성 너머의 공간은 오랫동안 거의 비어 있다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천문학자들이 그곳에서 새로운 천체를 발견하면서, 태양계에 대한 기존의 상식이 흔들리고 있다.​미국 고등연구소의 연구팀은 '2017 OF201'이라는 이름의 소행성을 발견하고, 이 천체가 명왕성과 유사한 ‘왜행성(dwarf planet)’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공식 발표는 2025년 5월 21일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를 통해 이루어졌다.지름은 약 700km로 추정되며, 이는 명왕성(지름 약 2,377..

천문학 2025.05.27

목성, 탄생 초기엔 지금 두 배 크기…태양계 설계도 복원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금 우리가 아는 태양계는 완성형이 아니다. 약 45억 년 전, 태양과 행성들은 거대한 가스와 먼지의 원반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목성은 가장 큰 행성이자, 다른 행성들의 궤도까지 바꿔놓을 정도로 중력이 강한 존재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거대 행성이 태양계의 구조를 설계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을 것으로 봐 왔다.​그렇다면, 목성은 태초부터 지금 같은 모습이었을까?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와 미시간대학교 연구진은 목성이 형성 초기엔 지금보다 두 배 가까이 크고, 자기장도 ..

천문학 2025.05.26

거대 충돌 한 번에 행성 수백만 년간 ‘진동’ 가능성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초기 태양계는 충돌의 연속이었다. 달 표면에 새겨진 수많은 크레이터는 당시 얼마나 많은 천체들이 충돌했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런 격동의 역사는 외계 행성계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이며, 최근 한 이론 연구는 거대 가스 행성 간 충돌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 ‘행성 규모의 진동’을 남길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UC버클리 이론물리학자 J.J. 자나치 박사 연구팀은 ‘직접 촬영된 거대 외계행성에서 거대 충돌이 유발하는 지진 진동(Seismic Oscillation..

천문학 2025.05.15

엄폐 현상 활용한 NASA, 천왕성 대기 고도별 정밀 분석 성공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엄폐 현상 활용해 성층권 구조 및 고리 정보 획득2025년 4월, 천왕성이 약 400광년 떨어진 별 앞을 지나며 '엄폐 현상'이 발생했다. NASA는 이 정렬을 활용해 천왕성 대기에서 별빛이 굴절되는 과정을 관측했고, 이를 통해 고도별 온도와 압력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이번 관측은 1996년 이후 처음으로 수행된 대규모 천왕성 대기 분석 캠페인이었다. ​엄폐 현상을 통한 대기 분석엄폐 현상은 외행성이 지구에서 볼 때 먼 별 앞을 통과하며 그 별빛을 가리는 천문 현상이다. 이때 별빛은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밝기가 점진적으..

천문학 2025.04.28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신성 후보 ···백색왜성 쌍성계 발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에서 약 150광년 떨어진 지역에서, 두 개의 백색왜성이 서로를 공전하고 있는 쌍성계가 발견됐다.영국 워릭대학교 연구팀은 이 쌍성계가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발견은 초신성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측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초신성과 1a형 초신성의 이해초신성은 별이 생애 마지막에 폭발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별이 수명을 다하면 크기가 수축하거나 팽창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생을 마감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극도로 밝은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를 초신성이라고 부른다...

천문학 2025.04.17

프록시마 센타우리 플레어, 생명 거주 가능성 위협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진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별이다. 작은 M형 적색왜성이지만, 최근 ALMA(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망원경) 관측을 통해 이 별이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고 빈번한 플레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지구형 외계 행성 프록시마 b를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별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플레어는 행성 대기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생명체 거주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밀리미터파 관측으로 드러난 플레어의 빈번한 폭발콜로라도 대학교 키아나 버튼과 존스 홉킨스 대..

천문학 2025.04.16

천왕성 자전의 비밀 허블이 풀었다···40년 만에 새 기준 제시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자전축과 자기장이 극단적으로 기울어져 있어, 내부 구조와 회전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국제 연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의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천왕성의 자전 속도를 사상 최고 정밀도로 측정했다. 이 결과는 천왕성 자기장의 동역학 연구와 향후 탐사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왕성 자전 속도, 허블 망원경으로 정밀 측정천왕성은 특이한 자기장과 자전축을 가진 행성으로, 내부 자전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랑 라미(프랑스 파리 천문대 LIR..

천문학 2025.04.16

아르테미스 기반 초대형 간섭계, 달에서 별·은하 관측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달이 우주의 착륙지로서뿐 아니라, 정밀 우주 관측의 거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달 기지를 구축하고, 그 위에서 다양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그중 하나가 바로, 달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천체 관측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별빛이 흐려지지 않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망원경을 설치하면 공기 흔들림 없이 광학 관측이 가능하다. 중력도 있어 정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지구나 궤도 위성으로는 어려운 짧은 파장의 빛까지, 더 높은 해상도로 포착할 ..

천문학 2025.04.14

천왕성, 20년 데이터로 밝혀낸 극지 메탄 분포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천왕성은 태양을 옆으로 누운 채 공전하는 특이한 구조의 행성이다. 이번에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20년에 걸쳐 수집한 장기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천왕성의 극지방에서는 메탄이 지속적으로 고갈되고 북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밝아지는 등, 극단적인 대기 불균형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기울어진 천왕성의 계절 구조와 대기 순환을 보여준다. ​천왕성, 20년 허블 관측으로 드러난 대기 구조 1986년, 보이저 2호가 천왕성을 스쳐 지나가며 남긴 이미지는 심심한 청록색 공 하나였다. 겉보기에 특별한 특징이 없던 이 행성은 이후 오랜 시간 연구의..

천문학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