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중력' 태그의 글 목록

중력 9

높은 곳에 살면 정말 빨리 늙을까?···상대성 이론과 생체 시간의 관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시간은 어디서나 똑같이 흐를까. 아침에 일어나고, 저녁에 잠드는 하루의 리듬은 고층 아파트든 지상 주택이든 똑같을 것이다. 하지만 물리학자들은 100년 전부터 “높은 곳일수록 시간이 더 빠르게 흐른다”고 주장해왔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과 실험 결과를 통해 일정 부분 사실로 입증된 내용이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도 가능해진다. 높은 곳에서 사는 사람은 정말 더 빨리 늙는 걸까? 이 단순한 호기심은 현대 물리학과 생물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꽤 진지한 과학적 탐구로 이어진다. ​상대성 이론, 시간은 위치에 따라 다르게 흐른다190..

과학 상식 2025.04.03

일반상대성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은 1915년에 상대성 이론(相對性 理論 Theory of General Relativity)을 발표했다. 중력장(重力場)에 대한 이 이론은 1905년에 발표했던 그의 특수 상대성 이론(특수상대성 이론 참조)과 1687년에 뉴턴이 발표한 만유인력 이론(중력의 법칙 참조)을 하나로 결합한 것이다. 그는 이 이론을 통해 시간(time)과 공간(space) 즉 시공(時空 spacetime)의 기하학적 성질을 새롭게 설명했다..

과학 상식 2025.03.31

뉴턴의 중력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뉴턴의 ‘중력(重力)의 법칙’이란?  위대한 물리학자인 갈릴레오가 세상을 떠나던 해, 한 사람의 위대한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이 영국에서 탄생했다. 뉴턴은 어렸을 때 성적이 꼴찌에 가까웠다. 그러나 1660년에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한 이후부터 역사상 가장 훌륭한 과학자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뉴턴은 정원에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왜 사과는 수직으로 땅에 떨어질까?” 하고 의문을 가졌다. 그는 “사과가 떨어지는 이유는 어떤 힘이 ..

과학 상식 2025.03.20

갈릴레오의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법칙'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갈릴레오가 완성한‘낙하하는 물체의 운동법칙’  1971년 아폴로 15호 우주선을 타고 달에 도착한 우주비행사 데이비드 스콧(David Scott)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과학 실험을 역사상 처음으로 실시했다. 그는 깃털과 쇠망치를 공중에서 동시에 떨어뜨려, 둘 모두 동시에 땅에 떨어지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384-322 BC)는 가벼운 물체와 무거운 물체를 동시에 떨어뜨리면 무거운 것이 먼저 땅에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날 이후 이탈리아의 철학자이며 물리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

과학 상식 2025.03.20

질량의 측정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실제로 질량을 측정하는 데는 천칭을 사용한다. 질량이 무게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려는 물체의 무게를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저울추의 무게와 비교하여 그 물체의 질량을 잰다(그림 22).​보통은 그보다도 용수철저울 등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간접적으로 질량을 구하는 일이 많다. 이미 말했듯이 용수철저울은 무게, 즉 중력의 크기를 재는 장치다. 그리고 무게는 (mg= W)에 제시돼 있듯이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곱한 값과 같다. 중력가속도는 일정하며 980㎝/(초)2이므로, 무게로부터 질량이..

과학 상식 2025.03.13

우주에서 눈물을 흘리면 어떻게 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눈물이 흘러내릴 수 없을 만큼 중력이 약한 공간이 있다면, 슬픔이 덜할까? 지구에서는 물이 볼을 타고 줄줄 흘러내리지만, 무중력 상태에서는 감정의 표현조차 물리학 법칙에 따라 달라진다.​무중력 상태에서는 눈물이 흐르지 않는다지구에서 우리는 중력 덕분에 눈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국제우주정거장(ISS)처럼 미세 중력(microgravity) 환경에서는 눈물이 중력 방향으로 흐르지 않는다. ​물리학적으로 설명하면, 무중력에서는 액체가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에 의해 구형을..

과학 상식 2025.03.12

인공 중력을 만드는 3가지 방법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화에 등장하는 우주비행사(우주인)들은 지상에서처럼 걷고 동작하고 있다. 그러나 우주 공간으로 나간 우주인들은 상하좌우의 공간 감각이 없이 둥둥 떠 있게 된다. 지상의 인간이 공간을 바르게 파악하면서 바른 자세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은 중력이라는 우주의 기본 힘이 몸을 지구 중심으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이다.​인간이 달이나 화성에 가면, 그곳은 중력이 약한 곳이기 때문에 마치 깊은 물속을 걷는 것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중력이 약한 곳에서는 점프도 높이 할 수 있고, 붕붕 뜨는 기분이 들며, 힘들지..

과학 상식 2025.02.13

우주를 움직이는 4가지 기본 힘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우주에 존재하는 가장 거대한 은하에서부터 원자를 이루는 가장 작은 입자들까지, 세상 만물은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어떤 힘에 의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는 중력이 작용하고, 자석은 쇠붙이를 끌어당기거나 밀거나 한다. 물질을 구성하는 수많은 원자들은 강력에 의해 서로 결합해 있다. 또한 원자의 핵이 깨어지면 약력이라는 거대한 힘이 발생한다.    중력이라는 힘의 성질중력을 설명할 때는 가속도라는 용어가 따라다닌다. 속도(速度 velocity)와 가속도(加速度 accelerration)는 다르다. 비행기는 속도가 빠르다. 만일 비행기가 같은 속도(등속도)로 비행하고 있다면, 그 비..

과학 상식 2025.01.20

지구의 친구 달이 없다면?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지구는 우주의 패러다이스 – 6인간이 살기에 지구보다 좋은 행성이 없는데도 사람들은 지구의 고마움을 생각하지 않는다. 생명의 파라다이스인 지구의 은총을 소개하는 시리즈–6이다.​ 달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시와 노래가 수없이 많다. 전등이 없던 시대의 사람들은 밤마다 달을 바라보며 사랑했다. 그러나 조명등이 밝은 문명 세계에 살게 되면서 사람들은 천상에 지상을 비추는 달이 있다는 사실을 거의 잊어버리고 지낸다. 곧 정월 대보름날이다. 달이 지구인에게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 잠시 생각해보자. ​ 지구가 우주 공간 어디를 가든지 달은 변함없이 놓지 않고 따라다니며 빙빙 돌고 있다. 지구로부터 평균 384,400..

과학 상식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