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빛' 태그의 글 목록

11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태양전지를 탄생시킨아인슈타인의 광전(光電) 효과  막스 플랑크는(양자이론 참조) 빛 에너지의 최소 단위를  양자(quantum)라 하고, 그 에너지는 빛의 주파수에 일정한 상수(‘프랑크 상수)를 곱한 것(E = hv)이라고 1900년에 이론화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은 이러한 막스 프랑크의 양자 이론(양자론 참조)을 기초로 하여, 빛은 광자(입자)의 흐름이라고 생각하여, 물질(금속 비금속, 고체 액체 기체 불문)에 일정한 진동수 이상의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가시광선이나..

과학 상식 2025.03.31

로렌츠-피츠 저럴드의 수축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로렌츠-피츠 제럴드(Lorentz-Fitz Gerald)의 수축   1880년대에 마이컬슨(Albert Michelson 1852-1931)과 모얼리(Edward William Morely 1838-1923)는 빛의 속도를 측정한 결과, 관측자가 정지하고 있거나 이동하고 있거나 간에, 관측자의 상대적 운동과 관계없이 빛의 속도는 일정하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마이컬슨 모얼리의 실험 참조). 1894년, 아일랜드 더블린 시 트리니티 대학의 물리학자 조지 피츠 제럴드(George Fitz Gerald 1851-19..

과학 상식 2025.03.27

맥스웰의 '전자기 방정식'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자기(電磁氣)에 대한 ‘맥스웰의 방정식’   20세기가 시작되면서 세계는 전기와 자기의 시대, 전파통신 시대, 전자시대로 들어섰다. 오늘의 전자와 통신의 시대는 스코틀랜드의 위대한 이론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31-1879)의 선구적인 업적으로부터 꽃피기 시작했다. 맥스웰은 당시까지 알려진 전기장과 자기장에 대한 법칙을 통합하여 1864년에 4가지 수학 방정식으로 나타냈다. 맥스웰의 방정식(Maxwell's Equation)은 매우 복잡하다. '가우스의 법칙..

과학 상식 2025.03.27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Ingenhousz) 이론  광합성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면서 신비한 화학반응이다.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연료(에너지)가 필요하듯이, 식물도 자라고 열매를 맺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식물은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포도당)를 생산하므로 이를 광합성이라 한다. 식물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날 때는 자동차와는 달리 열도 발생치 않고, 어떤 공해물질도 방출되지 않는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잉겐호스(Jan Ingenhousz, 1730-1799..

과학 상식 2025.03.24

빛을 파동이라 생각한 호이겐스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은 파동의 성질을 가졌다고 생각한호이겐스(Huygens)의 원리   뉴턴이 살았던 시대까지도 사람들은 ‘우주 공간은 비어있지 않고 에테르(ether, aether)라 부르는, 빛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어떤 물질(매질 媒質)이 있다’고 믿고 있었다. 우주 공간을 에테르가 차지하고 있다는 생각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내려왔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스코틀랜드의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31-1879)이 “빛은 매질이 없어도 전파된다.”는 것을 밝히자, 에테르라는 말은 화학물질 중의 ..

과학 상식 2025.03.20

빛의 굴절 현상을 설명하는 '스넬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의 굴절 현상에 나타나는‘스넬(Snell)의 법칙’   물이 담긴 유리컵에 세워둔 젓가락은 물을 만나는 경계면에서 휘어져 보인다. 이처럼 빛이 물이나 유리를 통과할 때 그 경계면에서 꺾이어 진행방향이 달라지는 현상을 ‘굴절’(refraction)이라 한다. 굴절 현상은 고대로부터 알고 있었지만, 굴절 현상에 일정한 법칙이 따른다는 것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수학자 빌레브로트 스넬리우스(Willebrord Snellius, 1580-1626)이다. 진공, 공기, 물, 유리, 다이아몬드 등 매질(媒質)마다 빛..

과학 상식 2025.03.20

바다의 은물결과 풀잎의 물방울의 공통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침과 저녁, 바다와 호수는 은빛 물결로 반짝이며, 풀잎과 거미줄 위에 맺힌 물방울은 보석처럼 빛난다. 이러한 현상은 빛이 물과 만나며 생겨나는 복잡한 물리적 과정 덕분이다. 바다의 은물결과 풀잎의 물방울이 반짝이는 이유를 빛의 굴절과 반사, 렌즈 효과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살펴보겠다.    은물결, 빛과 수면이 만들어내는 예술​바다나 강의 은물결은 특히 아침과 저녁, 해가 낮게 떠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낮 동안은 바다의 물결이 잔잔히 빛나지만,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수면이 은빛으로 반짝이며 찬란한 ..

과학 상식 2025.03.13

색의 3원색과 빛의 3원색은 왜 다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세상 아름다움을 만드는빛의 3원색과 색의 3원색빛(태양과 불빛)의 3원색과 색의 3원색(수채화나 유화의 물감, 인쇄용 잉크)은 다르다.​빛의 3원색(trichromat of light) -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색의 3원색(trichromat of color) - 자홍색(magenta), 노랑(yellow), 청록(cyan)​빛의 색은 태양이나 전등, 촛불과 같은 광원에서 나오는 색이고, 물감이나 물체가 가진 색은 그 물체가 반사하는 빛의 색이다. 색의 종류별 이름 267가지 제정 색의 ..

과학 상식 2025.03.10

정전기 - 정전기는 수 만 볼트의 고전압이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정전기는 수 만 볼트의 고전압이다​ 물체에 정전기가 대전하고 있으면 비록 정전기의 양이 적더라도 ​그 물체의 전위는 수천 볼트에서 수만 볼트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생산현장에서는 수십만 볼트에 이르는 고전위가 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전위가 되면 기체 매질의 절연이 파괴되어 빛과 함께 소리를 동반한 정전기의 방전 현상이 나타난다. 전기방전이 발생하면, 전기를 띤 대전물체와 접지체와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대전물체의 전기가 접지체에 이동하고 대전물체의 정전기는 소멸하게 된다.    철광석 광맥은 어떻게..

과학 상식 2025.02.20

자동차보다 1억배 빠른 빛의 속도로 내가 달린다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의 속도는 초속 약 30만 km(정확히는 299,792.458 km)로, 우주에서 가장 빠른 속도다. 이 엄청난 속도로 달릴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현실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물리학은 이러한 가정을 통해 시간과 공간, 그리고 에너지에 대한 놀라운 사실들을 밝혀왔다. 이번 기사에서는 빛의 속도로 이동할 때 나타나는 물리적 현상과 우리가 우주를 보는 방식을 탐구해 본다.   빛의 속도로 이동한다는 것의 의미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의 평균 속도가 시속 100km(초속 약 28m)..

과학 상식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