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블랙홀' 태그의 글 목록

블랙홀 16

중력파의 전 여정 처음으로 추적하다···블랙홀을 통과한 최초 시뮬레이션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력파는 우주의 거대한 사건이 남긴 파동이다. 두 블랙홀이 충돌하거나 별이 붕괴할 때, 시공간 자체가 흔들리며 생겨난다. 이 파동은 광속으로 퍼져나가며 지구의 검출기에도 닿는다. 하지만 지금껏 우리는 이 파동이 정확히 어디서 시작되어, 블랙홀과 만나 어떤 상호작용을 거쳐, 어디로 사라지는지를 한눈에 본 적이 없다.​뉴질랜드 연구진이 이 한계를 뛰어넘었다. 오타고대학교와 캔터베리대학교의 물리학자들은 중력파가 우주의 경계에서 들어와 블랙홀을 통과한 뒤 다시 우주로 나아가는 전 과정을 하나의 시뮬레이션 안에..

천문학 2025.06.09

블랙홀, 은하 외곽에서 별을 삼키다···허블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블랙홀은 일반적으로 은하 중심에 고정된 구조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허블 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관측소가 포착한 사건은 이 기존 모델에서 벗어난다. 지구로부터 약 6억 광년 떨어진 은하 외곽에서, 초대질량 블랙홀이 별을 흡수하는 장면이 관측됐다.​이 조석교란현상(Tidal Disruption Event, TDE)은 ‘AT2024tvd’로 명명됐으며, 지금까지 보고된 100여 건 이상의 TDE 중 은하 중심이 아닌 위치에서 발생한 첫 사례다.​중심에서 벗어난 TDE, 처음으로 위치까지 확인되다TDE는 별이 블랙홀의 조석력에..

천문학 2025.05.14

4.5일마다 폭발하는 블랙홀, 다중 관측으로 풀린 반복 플레어의 비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블랙홀 ‘안스키’, 4.5일 주기로 반복되는 X선 폭발 관측반복 플레어, 블랙홀 원반을 관통하는 저질량 천체가 원인​4.5일마다 규칙적으로 폭발하는 블랙홀이 있다. ‘안스키(Ansky)’라 불리는 이 블랙홀 시스템은 지금까지 관측된 그 어떤 QPE보다 강력한 X선을 반복적으로 방출하고 있다. NASA와 국제 연구진은 다중 우주망원경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이 폭발이 블랙홀 주변 가스 원반을 저질량 천체가 주기적으로 관통하며 일어나는 충돌 현상임을 확인했다.​규칙적인 폭발, 충돌로 인한 고에너지 방출이번 연구에서 관측된 현상은 ‘준주기적 폭..

천문학 2025.05.14

블랙홀 제트의 미스터리, 전자와 광자의 충돌로 풀리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블랙홀에서 분출되는 제트는 광속에 가까운 입자 흐름으로, 우주의 가장 극한 환경 중 하나다. 이 제트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X선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생성되는지는 수십 년간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문제였다. NASA의 X선 편광 관측 위성 IXPE는 최근 정밀 관측을 통해, 이 X선이 전자가 광자와 충돌하며 발생하는 컴프턴 산란의 결과임을 입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했다.​X선 편광으로 밝혀낸 블랙홀 제트 방출 구조2023년 11월, NASA는 IXPE 위성을 이용해 블레이저 BL Lacertae를 7일간 집중 관측했다. 이 천체는 제트가 ..

천문학 2025.05.12

블랙홀 중력파 모드 불협화음, 30년 만에 원인 규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두 모드 간 공명으로 발생, 비에르미션 물리학 구조 규명 ​블랙홀이 방출하는 중력파 신호에서 발견된 불협화음(dissonance)의 원인이 30년 만에 밝혀졌다. 도쿄도립대학 하야토 모토하시 부교수는 고정밀 수치 계산과 비에르미션 물리학 이론을 적용해, 이 현상이 두 개의 진동 모드(mode) 간 공명(resonance) 때문임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됐다.​30년 묵은 중력파 이상 신호블랙홀은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초고밀도 천체다. 이들이 충돌하거나 합쳐질 때 발생하는 중력파는 다양한..

천문학 2025.05.07

중력파 분석, 라벨 바꾸니···선명해진 블랙홀 자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중력파는 두 블랙홀이 서로를 돌다 충돌할 때 생기는 신호다. 이 신호를 분석할 때는 관례적으로 더 무거운 쪽을 ‘1번’, 나머지를 ‘2번’으로 라벨링해 왔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라벨을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보고 라벨을 다시 정하자 블랙홀의 자전 방향이나 정체 같은 정보가 훨씬 더 정확하게 드러났고, 자전 속도 측정의 정확도는 최대 50%까지 높아졌다. 분석 방식 하나만 바꿨을 뿐인데 해석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 셈이다.​중력파 분석, 고정된 라벨이 분석 정확도를 떨..

천문학 2025.05.07

제임스 웹 vs 이벤트 호라이즌, 가장 정밀한 우주 망원경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600배 정밀한 단일 장비, 제임스 웹지구를 하나의 망원경처럼, 이벤트 호라이즌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 킬로미터. 오늘날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관측 장비는 이 거리에서 지름 7센티미터의 오렌지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해상도를 구현한다. 이는 단순한 확대가 아닌, 우주의 구조를 미세하게 ‘구별’하는 능력의 차이다. 사람의 눈이 1킬로미터 거리에서 30센티미터 간격도 식별하기 어려운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망원경 기술은 수십만 배 이상의 분해능을 확보한 셈이다. ​이 극단적 해상도의 구현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뤄졌다. 하..

천문학 2025.04.28

호킹의 블랙홀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호킹(Hawking)의 블랙홀 이론 블랙홀이라는 말은 첨단의 물리학 용어이지만, 지금에 와서는 그 의미가 확장되어 사회적 용어로 잘 쓰인다. 블랙홀의 존재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에서부터 논란(상대성 이론 참조)이 되어왔다. 블랙홀은 일반적으로 “중력장이 너무 커서 빛조차 흡수하기 때문에, 그것이 있는 영역은 암흑의 구멍처럼 보인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해 현대의 특출한 이론물리학자인 영국의 스티븐 윌리엄 호킹(Stephen William Hawking 1942- )은 1974년에 블랙홀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전개했다. 우주가 ..

천문학 2025.04.24

솜브레로 은하를 아시나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과 어둠이 수평으로 맞닿은 곳. 중심에는 밀도 높은 빛이 집약돼 있고, 그 위로 얇고 어두운 띠 하나가 정밀하게 가로지른다. 중심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둥글게 솟아 있고, 그 둘레를 따라 먼지가 얇게 퍼져 있다. 전체 구조는 납작하고 평평하며, 위에서 보면 넓은 원반 형태지만, 측면에서는 챙 넓은 모자가 기울어진 듯한 형상을 드러낸다.​멕시코 전통 모자 ‘솜브레로’를 닮아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구에서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방향에 위치하며, 메시에 104번(M104)으로 분류된다. 멕시코 전통모자. ..

천문학 2025.04.23

백색왜성의 질량 '찬드라세카르 한계'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백색 왜성의 최대 질량 찬드라세카르 한계 천체 물리학자들은 수많은 별들을 관찰 비교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별의 성질과 진화 과정을 짐작한다. 태양 가까이 있는 별들의 약 6%는 ‘백색 왜성(白色矮星 white dwarf)이라는 이름을 가진 별들이다. 태양은 46억 년 전에 생겨났다. 앞으로 다시 그 정도의 세월이 지나면, 태양은 가지고 있던 핵연료(수소)를 다 소모하고, 지구 크기 정도로 수축하여 매우 작은 별인 ‘백색 왜성'이 될 것이라고 천체 과학자들은 말한다. 백색 왜성은 열에너지를 대량 방출하는 매우 뜨거운 흰색의 작은 별들의 ..

천문학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