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3 글 목록

2025/03 194

전자의 파동성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자의 파동성(波動性) 이론-드브로이 파장  빛이 파동(광파)과 입자(광자) 두 가지 성질(이중성)을 가진 것이 알려지자, 전자도 파처럼 행동할까 하는 의문이 생겨났다. 1924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루이 드브로이(Luise De Broglie 1892-1987)는 “전자도 빛처럼 입자와 파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 역시 광파처럼 행동한다.” 는 이론을 전개하면서, ‘드브로이 파장 공식’(De Broglie Wavelength equation)을 발표했다. 드브로이 파장 λ(람다) = h/p 라고 했다.[h는..

과학 상식 2025.03.31

산성과 염기성 개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브뢴스테드-로리의 산-염기 개념  화학 과목 시간에 산(酸 acid)과 염기(鹽基 base)에 대해 공부할 때, 산성 물질은 푸른 리트머스 시험지를 붉게 변화시키고, 염기성 물질은 붉은색 리트머스 시험지를 푸르게 변화시킨다는 것을 배운다. 또 일반적으로 산성 물질은 신맛이 나고, 어떤 금속과 화합하면 수소를 발생한다는 것도 알게 된다. 산과 염기의 성질에 대한 아레니우스(Arrhenius)의 개념(아레니우스 산 연기 개념 참조)은 ‘산은 물에 녹아 수소 이온을 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수소 이온을 받는 물질’ 로 정의..

과학 상식 2025.03.31

대륙표류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베게너(Wegener)의 대륙 표류설(大陸 漂流說)   이탈리아의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1451-1506)가 신대륙을 처음 발견한 때는 1492년이었다. 그는 이때부터 1504년까지 4차례 신대륙을 항해했다. 그의 신대륙 발견 이후, 세계의 지형이 어떻게 생겼는지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플랑드르의 지도 제작자인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Abraham Ortelius 1527-1598)는 세계 여러 곳을 여행한 뒤, 1596년에 처음으로 현재의 세계지도를 닮은 지도를 제작했다..

과학 상식 2025.03.31

일반상대성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은 1915년에 상대성 이론(相對性 理論 Theory of General Relativity)을 발표했다. 중력장(重力場)에 대한 이 이론은 1905년에 발표했던 그의 특수 상대성 이론(특수상대성 이론 참조)과 1687년에 뉴턴이 발표한 만유인력 이론(중력의 법칙 참조)을 하나로 결합한 것이다. 그는 이 이론을 통해 시간(time)과 공간(space) 즉 시공(時空 spacetime)의 기하학적 성질을 새롭게 설명했다..

과학 상식 2025.03.31

닐스 보어의 전자 궤도 모델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닐스 보어(Niels Bohr)의 전자 궤도 모델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Niels Bohr 1885-1962)는  “원자의 핵 둘레를 도는 전자들은 일정한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들은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이동할 수 있다.” 는 이론을 1913년에 발표했다. 보어는 맨체스터에서 러더퍼드(러더퍼드의 원자 모델 참조)와 함께 연구했으며, 러더포드의 원자 모델을 더욱 발전시켰다. 러더퍼드는 전자들이 핵 주변을 무질서하게 돈다고 했으나, 보어는 아래와 같이 전자가 제한된 궤도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 ..

과학 상식 2025.03.31

결정체에 대한 브래그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결정체에 대한 ‘브래그(Bragg)의 법칙’   많은 종류의 물질은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결정 또는 결정체라 부른다. 결정체의 기하학적인 모양, 광학적 성질,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분야를 결정학(結晶學 crystallography)이라 한다.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헨리 브래그(William Henry Bragg 1862-1942)는 노벨상 역사상 처음으로 그의 아들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William Lawrence Bragg 1890-1971)와 나란히 191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때..

과학 상식 2025.03.31

러더퍼더의 원자 구조 모델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러더퍼드가 밝힌 원자 구조 모델   뉴질랜드 태생의 화학자이며 물리학자인 어니스트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1871-1937)는 오늘날 ‘핵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1909년에 그는 영국의 맨체스터 대학에 있었다. 이 대학에서 양전하를 가진 헬륨의 핵을 관찰하던 중, 원자는 거의 빈 공간이고 그 중심에 양전하를 가진 매우 작은 핵이 압축되어 있으며, 그 주변을 전자가 행성들처럼 돌고 있다는 '원자 모델'(Rutherford's Model of the Atom)을 1911년에 발표했다. 그가 발견한..

과학 상식 2025.03.31

초전도 현상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극저온에서 나타나는초전도(超電導) 현상(Superconductivity)  섭씨 영하 200도 정도의 매우 낮은 온도가 되면 어떤 도체는 저항 없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에너지의 소실이 없게 된다.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초전도체(superconductor)라 하며, 오늘날 초전도체는 새로운 기술에 응용되고 있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하이케 카메를링 오네스(Heike Kamelingh Onnes 1853-1926)는 냉동기술의 선구자이다. 그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물질의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었다. ..

과학 상식 2025.03.31

산과 염기의 '산도'(酸度)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산과 염기의 산도(酸度)를 규정한 쇠렌센(SØrensen)  산성(酸性 acidity)과 염기성(鹽基性 alkalinity), 즉 물에 녹아 있는 수소 이온(H+)의 농도를 나타내는 산도(酸度 pH Scale)는 화학, 생리학, 의학 등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산도(산성도)를 영어로 pH라고 나타내는 것은 ‘power of hydrogen'을 의미한다. pH를 어떤 경우 ’페하‘라고 발음하는 것은 독일식 발음에서 온 것이다.   “산성이 가장 강한 용액은 산도가 0이고, 알칼리성(염기성)이 가장 강한 용액은 산도..

과학 상식 2025.03.31

밀리컨의 '유적(油滴) 실험'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자의 무게와 전하를 측정한밀리컨(Millikan)의 유적(油滴) 실험   전자는 핵의 둘레를 돌고 있으며, 전류라는 것은 전자들이 흐르는 것이다. 각 원소의 원자가 가진 전자의 수는 핵을 이루는 양성자의 수와 같다. 1개의 전자가 가진 전기적인 힘, 즉 전하(電荷 electric charge)는 어느 정도일까?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밀리컨(Robert Millikan1868-1953)은 작은 상자에 현미경을 붙인 기발한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의 전하를 측정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실험 상자 속으로 안개처럼 ..

과학 상식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