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3/24 글 목록

2025/03/24 15

돌턴의 기체에 대한 '부분 압력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에 대한 돌턴(Dalton)의 '부분 압력의 법칙’  고무풍선 속에 공기를 집어넣으면, 기체의 압력 때문에 풍선은 팽팽하게 부풀어 오른다. 만일 팽팽한 풍선을 냉장고에 넣어둔다면 풍선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렇다고 풍선 안에 든 기체의 질량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다만 풍선 속 기체 분자들의 운동 속도가 줄어들어 압력이 낮아졌을 뿐이다. 증기기관이나 보일러의 뜨거운 수증기가 높은 압력을 가진 것은 고온이기 때문이다. 영국의 돌턴(John Dalton 1766-1844)은 시골에서 태어난 아마추어 과학자였다. 특히 ..

과학 상식 2025.03.24

프루스트의 일정성분비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프루스트(Proust)의 일정 성분비의 법칙   화학시간에 화합물과 혼합물의 차이에 대해 배운다. 물은 산소와 수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화합물이고,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반면에 소금물은 물과 소금이 섞인 혼합물이고, 공기는 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즉 혼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섞여만 있는 것을 말한다.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의 질량비(質量比)는 항상 일정하다.” 예를 들자면, 물(H2O)은 수소 2분자(질량비는 11.2%)..

과학 상식 2025.03.24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 맬서스의 인구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맬서스의 인구론의 진실  21세기의 과학자들은 식량부족, 화석연료의 고갈, 공해, 물의 부족,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의 기후 변화 등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한다고 염려한다.  역사적으로 18세기 말에 이르자, 유럽은 산업혁명이 일어나 생산기술이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자, 인구가 매우 빨리 증가하는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영국의 경제학자이며 수학자인 토머스 맬서스(Thomas bert Malthus 1766-1834)는 1798년부터 1826년까지 (An Essay on the ..

과학 상식 2025.03.24

'럼포드의 열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에 대한 ‘럼포드(Rumford) 이론’  열은 태양에서도 오고, 물체를 태워도 발생하며, 나무토막을 서로 비빌 때(마찰할 때)도 생겨난다. 18세기의 과학자들은 ‘열이 도대체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일부 과학자는 “열이란 칼로릭(caloric 열)이라 부르는 물질이 흐르는 것이다. 모든 물질은 얼마간의 칼로릭을 가지고 있으며, 칼로릭을 방출하고 나면 온도가 내려가고, 물체에 칼로릭을 공급하면 온도가 올라간다.”고 상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이론으로는 “마찰하면 왜 열이 발생하는가?”에 대해 설명..

과학 상식 2025.03.24

갈바니와 볼타의 전류에 대한 개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갈바니(Galvani)와 볼타(Volta)의 전류 개념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의 의사이며 해부학자인 갈바니(Lulgi Galvani 1737-1798)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볼타(Alessandro Volta 1745-1827)는 전류에 대해 처음 연구한 과학자들이다. 그들이 전류를 발견하기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정전기에 대해서만 알고 있었다. 정전기와 달리 움직이는 전기 즉 동전기(動電氣) 전류(electric current)를 알게 되면서 전기에 대한 과학이 급속히 발전하게 되었다. 1786년 어느 날, 갈바니와 ..

과학 상식 2025.03.24

질량불변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라부아지에(Lavoisier)의 '질량불변의 법칙'  프랑스의 앙트왕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 1743-1794)는 ‘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살았던 당시까지 사람들은 고대의 ‘4원소설’을 믿어 물과 공기를 원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라부아지에는 물과 공기가 모두 화합물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한편 당시 사람들은 “물질이 연소하면 플로지스톤이라는 질량이 없는 물질이 생성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100여 년 동안 지배해온 플로지스톤설(Phlogiston theory)을 부정..

과학 상식 2025.03.24

공기의 부피에 대한 '샤를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공기의 부피에 대한 ‘샤를의 법칙’  공기를 가득 채운 팽팽한 고무풍선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꺼내보면, 부피가 훨씬 줄어 있다. 그러나 바깥에 내놓으면 고무풍선은 다시 본래의 부피로 팽창한다. 이것은 공기의 부피가 온도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하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인 쟈크 샤를(Jacques Charles, 1746-1823)은 1783년 8월 27일, 형제 로버츠와 함께 수소 가스를 채워 사람이 탈 수 있도록 만든 최초의 기구(氣球 hydrogen balloon)에 올랐다. 그들이 제작한 기구는..

과학 상식 2025.03.24

'허턴의 동일과정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질학을 선도한허턴(Hutton)의 동일과정 이론   오늘날의 과학자들은, 우주가 탄생한 역사는 약 140억년이고, 지구의 나이는 약 46억년이라 믿고 있다. 그러나 18세기에 이르러서도 유럽 사람들의 의식은 성서의 기록과 기독교 교리가 지배하고 있었다. 따라서 당시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구의 나이는 수천 년에 불과하고, 지구의 모습은 창조된 당시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믿고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지질학자이며 물리학자인 제임스 허턴(James Hutton, 1726-1797)..

과학 상식 2025.03.24

쿨롱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기의 힘에 대한 ‘쿨롱(Coulomb)의 법칙’ 프랑스의 화학자였던 뒤 파이(Charles Francois du Fay 1698-1739)는 유리관을 문질렀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와, 호박(琥珀)을 문질렀을 때 생기는 정전기의 성질이 같지 않으며, 같은 성질의 정전기는 서로 밀고, 다른 성질의 정전기는 서로 끄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그는 1733년에 ‘전기에는 두 가지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파이의 이러한 발표 이후, 음전기와 양전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몇 해가 더 지나서였다. (라이덴병 참고..

과학 상식 2025.03.24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Ingenhousz) 이론  광합성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면서 신비한 화학반응이다.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연료(에너지)가 필요하듯이, 식물도 자라고 열매를 맺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식물은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포도당)를 생산하므로 이를 광합성이라 한다. 식물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날 때는 자동차와는 달리 열도 발생치 않고, 어떤 공해물질도 방출되지 않는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잉겐호스(Jan Ingenhousz, 1730-1799..

과학 상식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