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3/19 글 목록

2025/03/19 15

베이컨의 '과학 실증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실험과 관찰을 중시한 베이컨의 과학 실증론  영국의 철학자이며 과학자였던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과학의 법칙은 실험과 관찰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과학 실증론’을 주장했다. 옛 사람들은 거의 2,000년 동안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가 말을 그대로 믿어왔다. 그러나 베이컨의 과학 실증론이 주장된 이후,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식은 사색(思索)으로 이루어진 신비적인 것이 많음을 알게 되었고, 이후부터 어떤 새로운 자연현상이 알려질 때는, 그것이 ‘실험과 관찰로 증명..

과학 상식 2025.03.19

케플러의 '행성의 운동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케플러(Kepler)가 밝힌 ‘행성의 운동법칙’  독일의 수학자이며 위대한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는 행성의 운동에 대한 3가지 법칙을 발견했다. 이를 보통 ‘케플러의 운동법칙’이라 줄여서 부르고 있다.  케플러가 행성의 운동법칙을 발표하기 전까지 사람들은 "모든 행성들은 태양의 주변을 원 궤도로 돌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케플러는 행성들이 원 궤도가 아니라 약간의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행성의 제1, 제2 운동법칙은 1609년에, 그리고 ..

과학 상식 2025.03.19

'베들레햄의 별'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요한 케플러의 ‘베들레헴의 별’ 이론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매년 12월 25일을 예수가 탄생한 날(크리스마스)이라 하여 온갖 축제를 벌이고 있다. 예수께서 태어나던 때의 상황은 성서에 잘 기록되어 있다. 하늘에 나타난 밝은 별을 보고, 동방의 현자(동방박사) 3분은 위대한 왕이 탄생한 징표라고 믿어, 그들은 별을 따라 베들레헴까지 찾아가 아기 예수에게 경배하며 예물을 드리고 돌아갔다. 후세 사람들은 크리스마스에 나타났던 밝은 별을 ‘베들레헴의 별’이라 부르며, 지금까지도 이 별에 대해 신비해 한다.   티코 브라헤..

과학 상식 2025.03.19

자석의 원리를 밝힌 '길버트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자석(磁石)의 원리를 밝힌 ‘길버트 이론’  “나침반의 바늘이 지구의 북쪽과 남쪽을 가리키는 원인은 지구가 마치 거대한 막대자석처럼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도(緯度)가 높은 곳으로 이동하면, 나침반의 바늘은 점점 고개를 숙이게 되어, 북극에서는 바늘이 곧추서게 될 것이다.”는 주장을 처음 한 사람은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1544-1603)이다.   길버트가 자석에 대한 이론을 밝히기 전까지는, 쇠를 끌어당기고, 공중에 매달아두면 남북극을 가리키게 되는 자석의 성질이 과학자들에게 ..

과학 상식 2025.03.19

티코 브라헤의 '천체 변화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관측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의 '천체 변화설'  덴마크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는 귀족의 자녀로 탄생했다. 젊은 시절 그는 태양의 일식 현상을 관측하게 되면서 정치가의 꿈을 버리고 천문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덴마크의 프레데릭 2세 왕이 세운 궁정천문대의 관리자가 된 그는, 망원경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던 시대에 여러 가지 천체관측장비를 직접 제작하여, 맨눈으로 별들의 위치를 당시로서 매우 정확하게 777개나 기록한 최초의 관측 천문학자가 되었다.   그는 행성(行星)..

과학 상식 2025.03.19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태양중심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근대 과학의 선구자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태양 중심설)   모든 사람이 우주의 중심은 지구라고 믿고 있던 때에, 폴란드의 천문학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태양계서는 그 중심에 태양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고, 태양 둘레를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이 차례로 돌고 있다.”는 새로운 지동설(地動說)을 발표했다. 코페르니쿠스가 '지구도 하나의 행성'이라는 지동설을 기록한 저서 (On the Revolutions of the Celestial Sp..

과학 상식 2025.03.19

황금비율, 황금분할이란 무엇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황금비율,황금분할과 피보나치의 수(Fibonacci Number)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위에 배열된 각 수는 앞에 있는 수를 합한 수의 나열이다. 이 수를 계속 만들어 가면 1,618에 이르게 된다. 즉0 + 1 = 1, 1 + 1 = 2, 1 + 2 = 3, 2 + 3 = 5, 3 + 5 = 8 ..... 이러한 수의 배열은 고대 인도에서 일찍이 알려진 수인데, 오늘날에는 ‘피보나치의 수’ 또는 ‘피보나치의 수열'(數列, Fibonacci se..

과학 상식 2025.03.19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체계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 믿었던프톨레마이오스(톨레미)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Claudius Ptolemaeos AD 90-168)는 로마 시민으로서 이집트에 살았던 이름난 수학자이며 천문학자인 동시에 지리학자였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그리스 이름이고, 영어로는 톨레미(Ptolemy)로 불린다. 그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했고, 그의 이런 주장은 코페르니쿠스(Copernicus)의 지동설(地動說)과 케플러(Kepler)가 등장하기까지 14세기 동안 사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그리스 시대의 천문..

과학 상식 2025.03.19

에라토스테네스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의 둘레를 계산한 에라토스테네스의 원리   그리스의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약 BC 276-195)는 수학자이면서 천문학자이고, 지리학자이며, 시인이면서 운동선수이기도 했다. 2,000년도 더 이전에 그는 매우 간단한 생각으로 지구의 둘레를 정확하게 계산했을 뿐만 아니라,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까지 계산했다. 당시 그는, 고대 이집트의 시에네(지금의 아스완)에서는 하짓날 정오가 되면, 태양이 바로 머리 위에 오기 때문에, 우물 속 바닥까지 해가 비치고, 막대기를 세우면 그림자가 전혀 생기지 않는..

과학 상식 2025.03.19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287 BC-212 BC)는 그리스의 시러큐스(Syracuse, 지금의 시칠리)에 살았던 수학자이며, 동시에 물리학자, 엔지니어, 발명가이고 천문학자이기도 했다. 그의 생애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의 수많은 업적은 참으로 놀랍다. 그는 지렛대의 원리를 설명했으며, 물체의 움직임에 대해 연구하고, 압축펌프를 만들었다. 성벽을 공격하는 무기를 제작하고, 해변에서 적선에 큰 돌을 날려보내 공격하는 방법과, 거울로 적선에 불을 지르는 방법을 설계하기도 했다.   그..

과학 상식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