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3/20 글 목록

2025/03/20 15

'생체 시계(생물 시계)' 가설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생물의 몸속에 있는 ‘생체 시계’ 가설  진달래, 개나리, 벚꽃 등은 반드시 이른 봄에 핀다. 이처럼 나무들은 1년 중 언제 싹이 트고, 꽃을 피우며, 열매를 성숙시키고, 또 단풍잎으로 변할 것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 나팔꽃은 하루 중에서도 꼭 아침에 핀다. 어떤 나무의 잎은 아침에 펼쳐졌다가 저녁이 되면 접어버린다. 이러한 현상은 고대로부터 관찰되고 있었다. 프랑스의 지구물리학자인 메랑(Jean-Jacques d'Ortous de Mairan, 1678-1771)은 원래 천문학자였으나, 도중에 식물 연구에 빠졌다...

과학 상식 2025.03.20

빛을 파동이라 생각한 호이겐스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은 파동의 성질을 가졌다고 생각한호이겐스(Huygens)의 원리   뉴턴이 살았던 시대까지도 사람들은 ‘우주 공간은 비어있지 않고 에테르(ether, aether)라 부르는, 빛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어떤 물질(매질 媒質)이 있다’고 믿고 있었다. 우주 공간을 에테르가 차지하고 있다는 생각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내려왔다. 그러나 19세기에 이르러 스코틀랜드의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1831-1879)이 “빛은 매질이 없어도 전파된다.”는 것을 밝히자, 에테르라는 말은 화학물질 중의 ..

과학 상식 2025.03.20

뉴턴의 중력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뉴턴의 ‘중력(重力)의 법칙’이란?  위대한 물리학자인 갈릴레오가 세상을 떠나던 해, 한 사람의 위대한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2-1727)이 영국에서 탄생했다. 뉴턴은 어렸을 때 성적이 꼴찌에 가까웠다. 그러나 1660년에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한 이후부터 역사상 가장 훌륭한 과학자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뉴턴은 정원에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왜 사과는 수직으로 땅에 떨어질까?” 하고 의문을 가졌다. 그는 “사과가 떨어지는 이유는 어떤 힘이 ..

과학 상식 2025.03.20

생물의 종(種)이란 무엇인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생물의 종(種)에 대한 ‘레이(Ray)의 개념’  식물, 동물, 미생물로 크게 분류되는 생물에는 수백만의 종(種 species)이 있다. 나비라고 해도 거기에는 수만 종의 나비가 있고, 원숭이라고 해도 수십 종이 있다. 사자는 1종뿐이지만, 사슴(과)에는 34종의 사슴이 있다. 늑대와 개를 보면, 형태가 매우 닮았다. 그러나 개와 늑대는 종이 서로 다르다. 같은 개에 속하는 종일지라도 품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에 너무나 차이가 많다. 서로 종을 구별해야 하는 생물학자들에게 “종이란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일은 지금도 ..

과학 상식 2025.03.20

미적분 수학의 탄생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미적분(微積分) 수학을 개척한 라이프니츠  직선이 아닌 휘어진 선의 길이를 잰다거나, 울퉁불퉁한 물체의 표면적이나 부피를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땅을 측량하기 위해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17세기에 미적분 수학(integral calculus)이 생겨나면서 해결되었다. 곡선을 무한히 잘게 쪼개면(미분微分 하면), 각 조각은 거의 직선이 된다. 이렇게 미분된 길이를 합(積적)하면 실제 길이를 구할 수 있게 된..

과학 상식 2025.03.20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레디(Redi)의 실험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레디(Redi)의 실험   미생물에 대해 알지 못했던 옛 사람들은 고기나 생선에 생기는 구더기, 나뭇잎을 갉아먹는 애벌레, 늪의 개구리 등은 자연히 생겨난다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물은 어버이 없이도 생겨날 수 있다.”고 말했던 이러한 '자연발생설'은 19세기까지도 별로 의심받지 않았다.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생물학자였던 프란체스코 레디(Francesco Redi 1626-1697)는 모두가 믿고 있던 자연발생설의 잘못을 실험으로 증명한 최초의 과학자였다. 그는 8개의 유리병을 준비하고,..

과학 상식 2025.03.20

기체의 부피 변화에 대한 '보일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의 부피 변화에 대한 ‘보일의 법칙’  스킨다이버가 잠수할 때 등에 지고 들어가는 공기 탱크라든가, 프로판가스 탱크에는 높은 압력으로 채운 기체가 들어 있다. 같은 크기의 용기이지만 압력이 강하면 더 많은 기체를 담을 수 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1691)은 스스로 만든 성능 좋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체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을 했다. 그는 공기의 부피와 압력 사이에, 오늘날 '보일의 법칙'(Boyle's Law)이라 불리는 원리가 있음을 발견하고, ..

과학 상식 2025.03.20

로버트 후크의 탄성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탄성(彈性)에 대한 '로버트 후크의 법칙’  벽돌에 강한 힘을 주면 휘어지지 않고 깨어진다. 벽돌은 탄성을 거의 갖지 않은 물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무줄을 잡아당겼다 놓거나, 스프링을 눌렀다가 놓아주면 제자리로 돌아간다. 공기를 채운 고무공, 타이어, 풍선, 대나무와 같은 것은 매우 좋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고무라든가 강철 스프링처럼 탄성이 특히 좋은 물체를 ‘탄성체’라 부르며, 탄성체가 변형되도록 작용하는 힘을 외력(外力)이라 하고, 변형되었던 모양이 되돌아오는 것을 복원력(復原力)이라 한다. 하지만, 아무..

과학 상식 2025.03.20

'확률의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의 확률 이론  사람들은 복권에 당첨될 확률이 몇 백만분의 1이라는 식으로 확률에 대해 자주 말하고 있다.   ‘확률'(確率 probability)이란,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정도(확실성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 위로 갈 가능성은 50%(1/2 또는 0.5)이고, 주사위를 굴렸을 때 6이 나올 가능성은 6분의 1이다.”라고 하는 것은 모두 확률을 말하고 있다. 만일 “주사위를 4번 굴렸을 때, 4번 모두 6이 나올..

과학 상식 2025.03.20

진공의 힘을 보여준 '게리케의 실험'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진공과 기압의 힘에 대한게리케(Guericke)의 공개 실험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4세기)는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고 말했다. 진공의 존재를 부정했던 그의 이러한 생각은 2,000여 년 동안 의심받지 않고 지내왔다. 오늘의 사람들은 진공(眞空 vacuum)의 존재와 '공기가 압력(기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17세기가 되기까지만 해도 기압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기압(氣壓)과 진공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당시의 과학자들 중에 아마추어 물리학자 오토 폰 게리케(Otto..

과학 상식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