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3/10 글 목록

2025/03/10 14

[세계 수학사 中] 유클리드의 '원론'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그리스에서 -600년 무렵부터 축적된 수학의 연구 결과들이 -4세기 초에 명확 한 공리에 근거해서 연역적으로 조직되기 시작했다. 이것의 마지막 형태가 -300년 무렵에 유클리드가 쓴 에 제시됐다. 이것 이전에 히포크라테스를 비롯한 세 사람이 쓴 원론도 있었다고 한다. 이것들을 제치고 유클리드의 이 남았 다. 유클리드는 뿐만 아니라 광학, 천문학, 음악, 역학, 원뿔곡선과 같은 여 러 분야의 저작을 약 12권이나 썼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그는 그때까지의 그리스 수학을 모두 모아 편집하려고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

과학 상식 2025.03.10

윈도우 11 설치 불가 PC로 뜨는 경우 해결책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윈도우 11 설치 불가 PC로 뜨는 경우 해결책 - 신뢰 플랫폼 모듈(Trusted Platform Module) 활성화​윈도우 11 발표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 설치가 가능한지 테스트하는 기능을  PC 상태 앱에 포함시켰습니다. 그런데 당연히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체크해보면 의외로 잘 안됩니다. 저 역시 라이젠 7 2700X를 사용하고 있고 메모리도 32GB, 1TB SSD + 대용량 하드디스크, GTX 1070 등 갖출 건 다 있어서 설치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으나 의외로 설치 불가로 나옵니다...

과학 상식 2025.03.10

거북목 오래되면, 뇌 건강에 어떤 변화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거북목 증후군(Forward Head Posture, FHP)은 이제 익숙한 용어가 되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늘어나면서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가 습관화됐고 이에 따른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거북목은 목과 어깨의 통증, 두통, 척추 변형 등 근골격계 문제와 관련이 깊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상 뇌 건강, 신경 및 인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주의가 필요하다.​거북목이 뇌 혈류 순환에 미치는 영향뇌는 지속적으로 혈액을 공급받아야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과학 상식 2025.03.10

단백질(프로틴)과 아미노산의 차이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살코기, 계란, 생선, 치즈, 두부, 우유와 같은 식품의 영양이 되는 주성분을 단백질(protein 프로틴) 또는 흰자질이라 한다. 탄수화물 및 지방질과 함께 3대 영양소로 취급되는 단백질은 인체의 근육과 피부와 내장과 뼈가 되고, 피와 효소와 호르몬과 핵산이 되며, 활동 에너지가 되기도 하는 생명의 물질이다. 이런 단백질은 여러 가지 종류의 아미노산 분자가 무수히 연결된 고분자 화합물이다. 단백질과 아미노산은 어떻게 구별되는 화합물인가? ​17세기가 되면서 유럽의 과학자들은 계란, 포유동물의 살코기, 생선, 우유,..

과학 상식 2025.03.10

허블이 포착한 우주의 모습, 9중 고리 은하의 탄생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허블 우주 망원경이 9개의 고리를 지닌 거대 은하 ‘황소눈 은하(Bullseye Galaxy)’를 발견했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은하 중 가장 많은 고리를 가진 사례로, 천문학계에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다. 연구진은 약 5천만 년 전 왜소은하의 충돌로 인해 이처럼 정교한 다중 고리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LEDA 1313424는 지름이 25만 광년에 달하는 거대 은하로, 이는 우리 은하(Milky Way)의 약 2.5배 크기에 해당한다. 예일대학교 박사 과정 연구원인 이마..

과학 상식 2025.03.10

양파 썰 때, 눈물 안 나게 하는 과학적 방법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양파를 썰 때 눈물이 난다면, 냉장고를 이용해볼 만하다. 차가운 온도에서 보관한 양파는 같은 양파라도 덜 매운맛을 낸다.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다. 이 현상은 양파 속 화학 반응과 휘발성 물질의 성질에서 비롯된다. 왜 냉장고에 넣으면 양파가 덜 매워지는지, 매운맛을 줄이는 방법은 없는지 알아봤다.​양파를 썰면 눈물이 나는 이유 양파를 자르면 세포가 손상되면서 유황 화합물(Sulfur Compounds)이 방출된다. 대표적인 물질이 프로페인설폭사이드(propane thiol-S-oxide)인데, 이 성분이 눈과 코 점..

과학 상식 2025.03.10

우주의 끝은 어디인가?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우주는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왔다. 우리가 현재까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 약 930억 광년(직경 기준)에 달하지만, 이는 빛이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 국한된 수치다.​'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Universe)'는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경계를 의미할 뿐, 실제 우주의 크기는 이를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으며, 그 속도는 빛보다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우주의 경계를 탐구하는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

과학 상식 2025.03.10

눈이 없어도 색을 보는 동물이 있다?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눈이 없는데도 색을 볼 수 있다? 상식을 벗어난 말이지만, 실제로 이런 동물들이 존재한다. 눈이 없지만 눈으로 색상을 감지하는 신비로운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 주인공은 해파리, 불가사리, 문어 같은 생물이다. 이들은 눈 없이도 색을 감지하고 주변 환경에 맞춰 몸 색깔을 바꾸기도 한다. 그 비밀은 뭘까? ​‘시각’의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우리가 색을 본다는 것은 단순히 빛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눈에는 원추세포(cone cells)라는 광수용체가 있어 서로 다른 색을 인식한다. 하지만 일부 동물들은 눈이..

과학 상식 2025.03.10

탈모, 왜 인류 최대의 난제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게시물이 올라온다. 애매하게 빠진 정수리 사진을 올리며 '탈모인가요?'를 묻는 사진이다. 또 다른 사진은 '풍성한가요?'를 묻는다. 머리카락이 좀 없어도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이처럼 현실에서 머리숱은 자신감과 직결된다. ​인류가 우주에 발을 딛고 AI가 초사고를 지향하며 자율주행차가 거리를 누비고 유전자 편집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 그럼에도 탈모는 인류 최대의 난제로 남아있다. 왜 일까?​탈모, 호르몬과 면역의 총체적 난제 탈모는 단순히 머리카락이 빠지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호르몬과 유..

과학 상식 2025.03.10

NASA, 핵열 추진 연료 실험 성공… 화성 탐사 혁신 눈앞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와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가 미래 달 및 화성 탐사에 적용될 핵열 추진(NTP, Nuclear Thermal Propulsion) 시스템의 연료 내구성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스페이스닷컴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실험은 기존 화학 추진 기술을 뛰어넘는 고효율·고출력 추진 방식을 검증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연구진은 극한 온도와 환경에서 연료의 안정성을 확인했으며, 이는 향후 심우주 탐사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달 초, 제너럴 ..

과학 상식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