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게시물이 올라온다. 애매하게 빠진 정수리 사진을 올리며 '탈모인가요?'를 묻는 사진이다. 또 다른 사진은 '풍성한가요?'를 묻는다. 머리카락이 좀 없어도 사는 데 지장은 없지만, 이처럼 현실에서 머리숱은 자신감과 직결된다.
인류가 우주에 발을 딛고 AI가 초사고를 지향하며 자율주행차가 거리를 누비고 유전자 편집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 그럼에도 탈모는 인류 최대의 난제로 남아있다. 왜 일까?
탈모, 호르몬과 면역의 총체적 난제
탈모는 단순히 머리카락이 빠지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호르몬과 유전, 면역 시스템, 스트레스까지 총체적인 난제다. 남성형 탈모의 주범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는 모낭을 쪼그라들게 만들어 더 이상 털이 자라지 않도록 한다. 여성형 탈모는 폐경과 호르몬 변화로 인해 진행된다. 쉽게 말해, 우리 몸이 머리카락과의 결별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출구 없는 탈모 치료
탈모 치료제는 많지만 영구적인 해결책은 없다.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두타스테리드(아보다트)는 DHT 생성을 억제하지만, 부작용으로 성욕 감퇴, 발기부전 등의 문제가 따라온다. 더군다나 약을 끊으면 탈모가 다시 진행된다. 미녹시딜도 혈류를 증가시켜 일시적으로 머리를 살릴 수 있지만, 사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락한다. 즉, 한 번 시작하면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숙명이 기다린다.
모낭이 사라지면 끝
탈모가 진행되면서 모낭이 위축되고, 어느 순간 완전히 사라진다. 모낭이 죽으면 아무리 좋은 약을 써도 소용없다. 현재 과학 기술로 죽은 모낭을 되살릴 수는 없다. 그래서 탈모 치료는 미리미리 해야 하지만, 보통은 머리가 많이 빠진 뒤에야 병원을 찾는다.
그러니 손쓸 틈 없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모발 이식은 남아있는 건강한 모낭을 후두부에서 채취해 탈모 부위에 옮기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역시 완벽한 해법이 아니다. 이식할 수 있는 모낭의 개수가 한정적이며, 원래 모발이 계속 빠지면 추가 이식이 필요하다. 게다가 비용이 천문학적이며, 한 번으로 끝나지 않을 수도 있다.
줄기세포와 유전자 치료는 어디까지 왔나?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치료,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한 모낭 재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임상 실험을 벗어나지 못했다. 상용화까지 최소 10년 이상 걸릴 가능성이 크다. 탈모인들에게 10년은 너무 길다. 지금 당장 필요한 건 머리카락이지, 먼 미래의 희망이 아니다.
그나마 희망적인 사실은 연구개발이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2023년 연구에서는 특정 유전자가 탈모를 억제하거나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를 CRISPR-Cas9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과 접목하고 있다. 신약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기존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나 미녹시딜(minoxidil)보다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신약이 연구되고 있으며, 모낭 세포의 성장 인자를 직접 자극하는 약을 개발 중이다.
탈모 정복은 불가, 예방하거나 진행 늦추려면
탈모를 막으려면 조기에 대응해야 한다. 생활 습관 개선과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약물 치료는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와 두타스테리드(아보다트)를 통해 DHT 생성을 억제하여 탈모 진행을 늦출 수 있다.
모발 건강을 위해 단백질, 비오틴, 철분, 아연, 비타민 D 등 필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면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된다. 단백질, 비오틴, 철분, 아연, 비타민 D 등은 모발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피를 깨끗이 유지하고 지나친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극적인 샴푸 사용을 피하고, 가벼운 마사지로 혈류 순환을 돕는 것이 좋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탈모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므로, 명상과 운동, 충분한 수면 등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는 두피의 혈류를 증가시켜 모발 성장을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NASA, 핵열 추진 연료 실험 성공… 화성 탐사 혁신 눈앞에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와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가 미래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의 끝은 어디인가? 또 다른 우주가 존재할까 (0) | 2025.03.10 |
---|---|
눈이 없어도 색을 보는 동물이 있다? (1) | 2025.03.10 |
NASA, 핵열 추진 연료 실험 성공… 화성 탐사 혁신 눈앞에 (0) | 2025.03.10 |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찍은 우주의 신비로운 구름 (0) | 2025.03.10 |
빛의 속도를 측정한 피조의 실험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