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4 글 목록

2025/04 44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성공 임무 수행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미국 항공우주 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의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가 2025년 3월 2일(현지시간), NASA의 실험 장비를 싣고 달 착륙에 성공했다. ​블루 고스트는 달 북동쪽 마레 크리시움(Mare Crisium) 분지의 화산 지대에 자동 조종 방식으로 착륙했으며, 이를 통해 파이어플라이는 달에 우주선을 무사히 착륙시킨 최초의 민간 기업이 되었다.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가 2025년 3월 2일(일), NASA의 실험 장비를 싣고 달에 착륙한 후 촬영한 이미지..

과학 상식 10:56:15

미세플라스틱, 조류 폐에도 가득 쌓였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알고 보면 우리는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 물, 공기, 음식, 심지어 소금과 과일에서도 발견되는 이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은 우리 몸속으로 차곡차곡 쌓인다. 당장은 별 탈이 없어 보이지만, 몸속에 축적된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 몸 곳곳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기 중을 떠도는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가 야생 조류의 폐에 축적되고 있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플라스틱 오염이 인간을 비롯한 생태계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증거다. ​폐 조직 1g당 400개 이상의 미세 플라스틱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캠퍼스(UTA)의 생물학 ..

과학 상식 10:51:10

물의 기원에 관한 새 연구, 예상보다 100억 년 빨랐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에서 물이 언제 처음 만들어졌을까? 기존 연구들은 물이 비교적 후기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밝혀진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물은 빅뱅 후 단 1억 년 만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물이 초기 은하의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생명체가 존재할 환경이 예상보다 훨씬 일찍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4일 온라인 과학매체 피즈(Phys.org)는 영국 포츠머스 대학교의 천체물리학자 다니엘 왈렌(Daniel Whalen) 박사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진은 최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

과학 상식 10:47:29

정전기와 일반 전기는 어떻게 다른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기에 대해 공부하면 난해한 물리학 용어들을 만나기 때문에 누구나 상당한 두뇌의 노력이 필요하다. 겨울철 옷에서 발생하는 전기, 번개를 만드는 구름의 전기 등은 ‘정전기’라 말한다. 정전기는 가정으로 송전되는 일반 전기나 배터리의 전기와는 다르다.​ 두 물체를 맞대고 비비거나 충돌시키면 한쪽 물체의 전자가 다른 쪽 물체로 옮겨간다. 전자를 잃은 쪽 물체는 양전하(+)를 갖게 되고, 전자를 받은 쪽은 음전하(-)를 갖게 된다. 전하(電荷 electric charge)라는 것은 전기적 힘(전기력 electric force)을 가진 물리적 성질..

과학 상식 10:43:56

한국인 수면 시간 세계 최하위권, 잠 못 자는 사람, 혈당 변화 살펴보니···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수면 부족은 인내심의 한계를 부른다. 잔잔한 짜증과 나쁜 선택(ex. 고칼로리 정크푸드), 이기적인 행동에 기여한다. 몸이 피곤하니 성격도 까칠해지는 것이다. 몸과 정신 만큼이나 혈당에도 악영향을 준다. 최근 미국의 온라인 의학저널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는 최신 연구 결과를 활용해 수면 패턴과 혈당 안전성의 밀접한 관계에 대해 보도했다. 짧은 수면 시간과 늦은 취침이 혈당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대사 건강을 위협한다는 내용이다. ​늦게 잠들고 적게 자면, 혈당 최악 중국 서레이크 생명과학 및 생물의학 연구소 연구팀은 연속..

과학 상식 10:38:57

케토제닉 식단, 양극성 장애 개선 효과?···저탄고지와 정신 건강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케토제닉(저탄수화물·고지방) 식단이 양극성 장애 증상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케토제닉 식단은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뇌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1920년대부터 약물 치료가 어려운 뇌전증 환자의 발작을 줄이는 데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양극성 장애와 뇌전증이 유사한 신경 생물학적 기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케토제닉 식단이 양극성 장애 환자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

과학 상식 10:34:10

겨울잠 자는 여우원숭이, 텔로미어 연장···노화 시계 되돌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리는 모두 노화의 외적인 징후에 익숙하다. 거울 속 얼굴에는 처진 피부나 가늘어진 머리카락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노화 관련 변화는 세포 내부, 특히 우리의 DNA에서도 시작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고 손상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일부 생물은 이 과정을 일시적으로 되돌리는 방법을 찾아냈다.​​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햄스터 크기의 원숭이인 살찐꼬리난쟁이여우원숭이는 매년 동면 기간 동안 세포 노화 시계를 되돌리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듀크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연구팀이 수행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과학 상식 10:29:22

상어 멸종 위기, 사라지는 최상위 포식자···무너지는 해양 생태계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어획으로 인해 급감하는 상어 개체수단순 방류로는 멸종 방어 역부족먹이사슬 불균형, 해양 생태계 연쇄 영향 ​상어는 오랫동안 바다의 포식자로 군림해왔지만, 인간으로부터 훨씬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상어 종의 약 3분의 1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가장 큰 원인은 어획이다. 최근 UC 산타바바라 대학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어업에서 포획된 상어를 단순히 방류하는 정책만으로는 이들의 개체수 감소를 막기에 역부족이다. 해당 연구는 국제 학술지 Fish & Fisheries에 게재되었으며, 상어 보존을 위한 종합적인 ..

과학 상식 10:25:27

AI가 창작한 예술은 진짜 예술일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예술가의 작품과 나란히 경매에 오르고, AI 작곡가가 음원을 발표하며, AI 소설가가 베스트셀러를 쓰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렇다면, AI가 만든 이 모든 것이 ‘진짜 예술’일까? ​창작의 정의, AI는 예술가인가?전통적으로 예술은 인간의 감정과 경험을 표현하는 행위로 정의되었다. 피카소는 "예술은 거짓말이지만 그 거짓말 속에서 우리는 진실을 발견한다"고 했다. 하지만 AI는 감정을 느끼지 못한다. 경험도, 창작의 고뇌도 없다. 그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한 후, 알고리즘을 이용해 패턴을 분석하고 조합하여 ‘창작물’을 만들어낼 뿐이다. ​AI..

과학 상식 10:12:16

반려견 언어 이해하기, 강아지 몸짓 어떻게 해석할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반려견 때문에 주인은 행복감이 충만한데, 반려견도 그만큼 행복을 느낄까? 말은 못해도 강아지 역시 주인에게 신호를 보내고 있다. 꼬리를 흔들거나, 귀를 젖히거나, 때로는 으르렁거리며 의사를 표시한다. 이 신호를 제대로 이해하면 반려견과 더욱 깊은 교감을 통해 행복한 동반자로서 살아갈 수 있다. ​텍사스 A&M 대학교 수의과대학 ‘Dog Aging Project’에서 프로젝트 매니저이자 수의 테크니션으로 활동하는 하모니 디어스는 반려견의 기본적인 몸짓 언어를 이해하면, 개들이 주변 환경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알 수 있다고..

과학 상식 09:5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