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025/04/28 글 목록

2025/04/28 14

리우 환경회의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리우 지구정상회의'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자, 유엔 산하 국제환경기구의 하나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리우 정상회의’라는 이름으로 그 대책을 논의하는 첫번째 국제회의를 개최했다.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대표적 국가들이 모인 당사국의 회의였다. ‘지구정상회의’ 또는 ‘리우 환경회의’(Earth Summit)로 알려진 이 회의에는 미국의 조지 부시 대통령을 비롯하여 114개국의 정상 및 정부 담당자와 185개국의 정부 대표단이 참여했으며, 이 회의에..

과학 상식 2025.04.28

기후변화를 대비한 국제연합의 노력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후변화를 대비한 국제연합의 다방면 노력​ 지구 온난화에 의한 재난은 어느 특정 국가나 지역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세계의 기상학, 환경학, 해양학, 지구과학, 에너지공학 관련 학자들은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논문을 매년 수만 건 발표하고 있고, 이를 알리는 국제회의, 학술발표회, 시민을 위한 강연회 등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그 원인과 영향이 너무나 복잡하여 그 대책이 간단치 않다. 여기에는 지구적인 기상, 환경, 화학연료, 에너지 수급문제, 산업구조, 교통기관, 도시환경 등의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

과학 상식 2025.04.28

유전자지도를 완성한 인간지놈계획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간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한 '인간지놈계획' ​원자탄을 개발한 '맨해튼 계획', 인간을 달에 착륙시킨 '아폴로계획'은 현대 과학 역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연구계획이었다.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6나라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대규모 연구자들은 아폴로 달 착륙 계획에 버금가는 역사적 계획인 ‘인간 지놈 계획’(Human Genome Project, HGP)에 공동으로 참여했다.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제임스 왓슨(James Watson, 이중나선 참조)을 대표로 1990년에 시작된 이 계획은, 약 20,000~2..

과학 상식 2025.04.28

줄기세포 이론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조직으로 분화될 수 있는 '줄기세포' 이론(Stem Cell Theory) 난세포(egg cell)와 정자세포(sperm cell) 사이에 수정(授精)이 이루어진 세포를 ‘수정세포’라 한다. 수정세포는 모체(母體) 속에서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유배(幼胚 embryo)가 된다. 유배가 분열하면 몸의 각 조직, 이를테면 근육, 뼈, 심장, 간, 눈, 피부, 이빨 등으로 분화(分化)된다. 이렇게 완전한 몸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배발생(embryo genesis)이라 한다. 사고로 크게 파손된 인간의 신체 조직이나 기관 대..

과학 상식 2025.04.28

지구위치확인 시스템(GPS)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세상을 변화시킨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GPS) 이론 내비게이션 시스템(또는 GPS 시스템)을 설치한 자동차의 화면에는 실시간으로 현재의 위치가 지도상에 나타나, 목적한 길을 정확하게 안내한다. 이러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항공기와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는 필수 시스템이 되었다. 또한 공사장에서는 작은 휴대용 GPS 수신기를 들고, 건물의 기둥이 제 위치에 바르게 섰는지 확인한다. 사막이나 고산, 극지를 탐험하는 사람들에게도 GPS 장비는 위도와 고도를 알려주는 필수품이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앱(어플리케..

과학 상식 2025.04.28

포유동물의 복제 실험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윌머트(Wilmut)의 포유동물 '돌리'의 복제 실험 세균과 같은 하등생물 대부분은 암수 구별 없이 몸이 둘로 나뉘어 자손을 만든다. 이 경우 분리된 두 세균의 핵은 똑같은 유전자(DNA)를 가지고 있다. 농업에서는 가지 일부를 잘라 꺾꽂이(삽목)하는 방법으로 증식한다. 한 나무에서 여러 개의 가지를 잘라내어 삽목한다면, 거기서 자란 식물들은 어미 나무와 유전자가 같고 삽목한 나무들끼리도 모두 동일한 DNA를 갖는다. 이런 번식법을 무성생식(無性生殖)이라 한다. 고등한 동물이나 대부분의 식물은 암수가 있는 유성생식(有性生殖)을 한다. ..

과학 상식 2025.04.28

엄폐 현상 활용한 NASA, 천왕성 대기 고도별 정밀 분석 성공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엄폐 현상 활용해 성층권 구조 및 고리 정보 획득2025년 4월, 천왕성이 약 400광년 떨어진 별 앞을 지나며 '엄폐 현상'이 발생했다. NASA는 이 정렬을 활용해 천왕성 대기에서 별빛이 굴절되는 과정을 관측했고, 이를 통해 고도별 온도와 압력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이번 관측은 1996년 이후 처음으로 수행된 대규모 천왕성 대기 분석 캠페인이었다. ​엄폐 현상을 통한 대기 분석엄폐 현상은 외행성이 지구에서 볼 때 먼 별 앞을 통과하며 그 별빛을 가리는 천문 현상이다. 이때 별빛은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밝기가 점진적으..

과학 상식 2025.04.28

손뼉 소리는 왜 크게 발생하나? – 헬름홀츠 공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좌우 손바닥 사이에 적당한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박수를 치면 의외로 큰 소리가 난다. 독일의 물리학자 헬름홀츠(Ludwig Helmholtz 1821-1894)는 1862년에 쓴 그의 저서 On the Sensations of Tone>에서 그 이유와 원리를 수학 공식으로 처음 설명했다. 오늘날 헬름홀츠 공명(Helmholtz resonance)이라 불리는 음향효과는 거의 모든 악기와 공연장 그리고 자동차 소음을 줄이는 머플러, 총소리를 작게 하는 소음기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가수들은 이 원리에 따라 크고 아름다운 목소리가 나오도록 발성..

과학 상식 2025.04.28

제임스 웹 vs 이벤트 호라이즌, 가장 정밀한 우주 망원경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600배 정밀한 단일 장비, 제임스 웹지구를 하나의 망원경처럼, 이벤트 호라이즌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 킬로미터. 오늘날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관측 장비는 이 거리에서 지름 7센티미터의 오렌지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한 해상도를 구현한다. 이는 단순한 확대가 아닌, 우주의 구조를 미세하게 ‘구별’하는 능력의 차이다. 사람의 눈이 1킬로미터 거리에서 30센티미터 간격도 식별하기 어려운 것과 비교하면, 지금의 망원경 기술은 수십만 배 이상의 분해능을 확보한 셈이다. ​이 극단적 해상도의 구현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뤄졌다. 하..

과학 상식 2025.04.28

베이킹소다와 식초로 강력 세정? '이렇게 쓰면 큰일'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베이킹소다와 식초는 주방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천연 세정제 중 하나다. 기름때 제거부터 배수관 청소, 음식 조리까지 활용 범위가 넓다. 하지만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잘못 사용하면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화학 반응으로 효과가 사라진다많은 사람들이 베이킹소다와 식초를 섞으면 강력한 세정 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사실 두 물질이 만나면 화학 반응을 일으키면서 서로의 효과를 중화시켜버린다. 베이킹소다는 알칼리성이고 식초는 산성이기 때문에, ..

과학 상식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