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생물의 종(種)에 대한 ‘레이(Ray)의 개념’
식물, 동물, 미생물로 크게 분류되는 생물에는 수백만의 종(種 species)이 있다. 나비라고 해도 거기에는 수만 종의 나비가 있고, 원숭이라고 해도 수십 종이 있다. 사자는 1종뿐이지만, 사슴(과)에는 34종의 사슴이 있다. 늑대와 개를 보면, 형태가 매우 닮았다. 그러나 개와 늑대는 종이 서로 다르다. 같은 개에 속하는 종일지라도 품종에 따라 크기와 모양에 너무나 차이가 많다.
서로 종을 구별해야 하는 생물학자들에게 “종이란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일은 지금도 이론이 여러 가지이다. 영국의 자연과학자인 존 레이(John Ray, 1627-1705)는 18,600종의 식물을 조사한 결과를 3권의 책 <Historia Plantarum Generalist>으로 내놓았다. 1686년부터 1704년 사이에 나온 이 책에서 그는 “오래도록 깊이 연구했지만, 종을 정확히 정의하기는 불가능하다. 같은 종으로 보이더라도 변이가 심하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종을 정의했다.
“종이란 서로 교배했을 때, 같은 종의 자손이 태어날 수 있는 생물의 집단이다.”
레이는 종(species)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다. species는 kind(종류) 또는 form(모양)에 해당하는 라틴어이다. 그는 식물을 크게 나누어, 씨에서 나오는 잎(떡잎 또는 자엽)의 수가 하나인 단자엽식물과 둘인 쌍자엽식물로 처음 분류했다. 또한 식물에 대한 분류 연구 후에는 물고기, 새, 파충류, 포유류, 화석에 대해서도 분류했다.
존 레이는 이처럼 종에 대한 개념을 처음으로 조심스럽게 정의했던 과학자이다. 오늘날에는 분류학자에 따라 종에 대한 30가지도 넘는 정의가 있으며, 염색체의 DNA 서열도 종을 정의하는데 문제가 된다. 지구상에 사는 생물은 약 150만 종이 현재 알려져 있으며, 전체 종의 수는 1,000만~3,000만 종일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미적분 수학의 탄생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미적분(微積分) 수학을 개척한 라이프니츠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을 파동이라 생각한 호이겐스의 원리란? (1) | 2025.03.20 |
---|---|
뉴턴의 중력의 법칙이란? (0) | 2025.03.20 |
미적분 수학의 탄생 (0) | 2025.03.20 |
자연발생설을 부정한 레디(Redi)의 실험이란? (0) | 2025.03.20 |
기체의 부피 변화에 대한 '보일의 법칙'이란?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