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 맬서스의 인구론이란?

과학 상식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 맬서스의 인구론이란?

sciencewave 2025. 3. 24. 11:45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기하급수로 증가한다는

맬서스의 인구론의 진실

 

 

21세기의 과학자들은 식량부족, 화석연료의 고갈, 공해, 물의 부족,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의 기후 변화 등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한다고 염려한다. 

 

역사적으로 18세기 말에 이르자, 유럽은 산업혁명이 일어나 생산기술이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자, 인구가 매우 빨리 증가하는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영국의 경제학자이며 수학자인 토머스 맬서스(Thomas bert Malthus 1766-1834)는 1798년부터 1826년까지 <인구론>(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이란 책을 6차례에 걸쳐 새로운 내용으로 고쳐 출판했다. 인류의 미래를 매우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그의 인구론은 당시 사회에 큰 반응을 일으켰으며, 엄청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만일 이대로 간다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1,2,4,8,16 ...)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1,2,3,4,5 ...) 증가할 것이다. 2세기 뒤에는 인구 256에 대해 식량공급은 9가 될 것이다.”

 

인구 증가율이 식량 생산 증가율을 크게 넘어서 기아의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는 그의 생각과는 달리, 동시대에 살았던 영국의 철학자 고드윈(William Godwin 1756-1836), 프랑스의 콩도르세(Nicolas de Condorcet 1743-1794),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66-1836) 등의 학자들은 끊임없이 사회가 발전하여 좋은 세상을 만들어갈 것이라는 유토피아를 생각하기도 했다.

 

맬서스의 예측은 농업기술의 꾸준한 발달 덕분에 지금까지 실현되지 않았다. 새로운 다수확 품종 개발, 병충해 방제 기술의 발달, 화학비료 생산, 제초제 사용, 관수 시스템의 발전 등으로 농업생산량이 극적으로 증가해온 것이다. 또한 의학이 발달하고 영양 상태와 생활 여건이 좋아져 인간의 수명도 많이 늘어났으나,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인구 증가율이 높지 않고, 식량부족 현상도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맬서스의 인구론은 기술진보가 별로 없었던 13~18세기의 농경시대에 적용될 수 있었던 이론이었다. 그러나 21세기의 사람들은 맬서스의 인구론을 잊지 않고 있으며, 수시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럼포드의 열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에 대한 ‘럼포드(Rumford) 이론’  열은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