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질량의 측정

과학 상식

질량의 측정

sciencewave 2025. 3. 13. 15:44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그림 22> 질량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실제로 질량을 측정하는 데는 천칭을 사용한다. 질량이 무게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려는 물체의 무게를 이미 질량을 알고 있는 저울추의 무게와 비교하여 그 물체의 질량을 잰다(그림 22).

보통은 그보다도 용수철저울 등을 사용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간접적으로 질량을 구하는 일이 많다. 이미 말했듯이 용수철저울은 무게, 즉 중력의 크기를 재는 장치다. 그리고 무게는 <수식 3-2>(mg= W)에 제시돼 있듯이 질량과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곱한 값과 같다. 중력가속도는 일정하며 980㎝/(초)2이므로, 무게로부터 질량이 쉽게 구해진다. 1g의 질량의 물체에는 980dyne의 중력이 작용하는 셈인데, 이것은 또 1g중(重)의 무게라고도 부른다.

 

천칭도 용수철저울도 중력을 이용하고는 있지만, 한쪽은 질량을, 다른 쪽은 무게를 재고 있다는 것에 다시 한 번 유의하기 바란다. 장소를 바꾸어 중력의 크기가 바뀌었을 때 천칭의 바늘은 움직이지 않지만, 용수철저울이 가리키는 눈금이 바뀐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가설, 원리, 법칙

여기서 가설, 원리, 법칙 따위의 용어를 설명해 두겠다.

원리는 수학의 공리(公理)에 대응하고, 법칙은 정리(定理)에 대응한다. 정리는 공리에 의하여 증명되는 것인데 공리는 증명돼야 할 것이 아니라 성립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유클리드 기하학에 있어서 평행선의 공리 「주어진 직선 외의 한 점을 지나 이 직선에 평행인 직선은 단 하나를 그을 수 있다」는 다른 공리로부터 유도할 수 없고, 또 이것을 다른 내용의 공리로 바꿔 놓으면 비유클리드 기하학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수학 이론에 있어서 공리계(公理系)가 서로 모순되지 않게 선택돼 있는지, 또 공리계의 모순이 없다는 증명이 가능한지, 이것은 지극히 심오한 문제다.

물리학의 법칙은 현상으로부터 이끌어지는 것인데, 가설은 직접 현상으로부터 이끌어지는 것이 아니고 법칙을 설명하고 기초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가설이 확실하다고 간주됐을 때 원리라고 불린다. 따라서 통상 운동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따위로 불리는 것은 바르게는 운동의 원리, 만유인력의 가설 따위로 불려야 마땅한 것이다.

 

 

 

 

일론 머스크, "우주정거장은 끝났다, 이제 화성으로"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미래가 다시 한번 논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