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고압' 태그의 글 목록

고압 3

'테슬라의 교류 송전 개념'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고압전류를 교류로 송전하는테슬라의 개념   19세기와 20세기 초는 전자기에 관련된 과학과 기술이 대단히 빨리 발전하기 시작한 시대였다. 1881년에 변압기가 발명되자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1887년부터는 발전소가 건설되어 공장과 가정에 적정한 전압으로 전류를 보내게 되었다.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1847-1931)은 1880년대에 직류 발전기를 발명하였으며, 그는 발전소를 세우고 ‘에디슨 조명 회사’를 설립하고 있었다. 직류(直流 direct current, DC)는 전류가 같은 방향으..

과학 상식 2025.03.27

가장 깊이 최 장시간 잠수하는 포유동물 챔피언 고래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바다에 사는 대표적인 포유동물은 고래류와 물개류(seals)이다. 이들 해양포유동물의 대표적 특징은 포유동물이면서 수중에서 장시간 숨을 쉬지 않고 지낼 수 있는 폐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물속에서 5분 견디기도 어려운 인간이 볼 때, 큐베주둥이고래라 불리는 고래의 놀라운 능력은 대단히 신비스럽다. 그들은 거의 3,000m(수압 약 300기압) 수심까지 잠수하고, 최장 3시간 42분 동안 잠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무엇이 그들을 ‘잠수 챔피언’이 되도록 했을까?  과학자들은 해양포유동물이 가진 잠수..

과학 상식 2025.02.12

‘손톱위에 코끼리가 올라서는 수압’ 심해 물고기는 어떻게 견딜까?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빛 한 줄기 없는 깊고 차가운 바닷속의 수압은 손톱위에 코끼리가 올라서는 정도라고 한다. 심해물고기는 이 수압을 어떻게 견뎌낼까?수심이 10m 깊어질 때마다 1기압씩 증가하는 바다에서, 7,000m 이상의 심해에 사는 생물은 700기압 이상의 초고압을 견뎌야 한다. 하지만 신비롭게도 이 극한의 환경에서도 심해어와 같은 생명체는 살아가며 번성하고 있다. 그 비밀을 푸는 열쇠가 바로 '생선 비린내 물질'로 알려진 트라이메틸아민 N-옥사이드(TMAO)라는 화학물질에 있다.    심해 생물의 생존 비결​심해 생물이 어떻게 이런 환경에 적응했는지는 오랜 기간 해양생물학자들의 주요 연구 주제였다. 1998년 미국 ..

과학 상식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