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태양계가 속한 은하계를 ‘우리 은하’(Our Galaxy, Milky way Galaxy, Home Galaxy)라 하고, 우리 은하계 밖의 것은 그냥 ‘은하’ 또는 ‘외계 은하’라 한다. 원반처럼 생긴 우리 은하의 지름은 약 10만 광년이고 두께는 약 10,000광년이며, 그 속에는 5,000억~6,000억 개의 항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은하는 ‘안드로메다(앤드로미더) 은하’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가까운 은하가 ‘마젤란 은하’이고, 가장 가까운 은하는 '큰개자리 왜소 은하’이다.

태양과 주변에 8개의 행성을 가진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26,000광년 거리에 있다. 태양계의 직경은 불확실하지만, 2,874억 6,000만km라고 추정하고 있다. 약 40년 전에 우주탐사를 떠난 보이저 1호(Voyager 1)는 2020년 2월 현재 태양으로부터 222억km 밖으로 나가 있으며, 아직도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고 있다. 222억km는 태양과 해왕성 사이의 약 4배 거리이다.

안드로메다 은하(Andromeda Galaxy, M32)는 나선상 은하(spiral galaxy) 중에서 우리 은하와 제일 가까이 있다. 거리상으로 따지면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로부터 250만 광년 거리에 있으므로 우리와 3번째 가까운 외계 은하이다. 크기가 우리 은하와 비슷하며. 우리 은하보다 약 2배 많은 약 1조개의 별이 있다. 이 은하는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므로, 그 동안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로 알고 있었다. 45억년 후에는 안드로메다와 우리 은하가 하나로 합쳐질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두 번째 가까운 마젤란 은하
마젤란 은하는 형체가 불규칙한 2개의 왜소 은하(dwarf galaxy)가 함께 보인다. 마젤란 은하는 구름을 닮았다 하여 ‘마젤란 성운(星雲)’이라 불렀으나, 정체가 밝혀지면서 지금은 마젤란 은하 또는 마젤란 구름(Magellanic clouds)이라 부르고 있다. 마젤란 은하는 적도 아래(북위 20도 이하)의 남반구 하늘에서만 보인다. 탐험가 마젤란이 세계 일주를 하면서 처음 기록으로 남겼기 때문에 ‘마젤란 은하’로 불린다.

마젤란 은하는 대마젤란과 소마젤란 은하 2개가 21° 각도 떨어져 보인다. 대마젤란(오른쪽)까지의 거리는 163,000광년이고, 소마젤란(왼쪽)은 75,000광년 더 먼 206,000광년 거리에 있다. 대소(大小) 두 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와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먼 훗날 언젠가는 우리 은하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대마젤란 은하는 궁수자리에 보이며, 약 300억 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작은 은하이다.

큰개자리에 보이는 소마젤란 은하에는 약 30억 개의 별이 있다. 대마젤란과 소마젤란에는 많은 암흑물질이 있다.
가장 가까운 ‘큰개자리 왜소 은하’(Canis Major Dwarf Galaxy)
2003년 11월에 큰개자리에서 발견된 ‘큰개자리 왜소 은하’는 우리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42,000광년 거리에 있다. 불규칙하게 이루어진 이 왜소 은하는 태양계로부터 겨우 25,000광년 떨어져 있다. 이 거리는 태양과 우리 은하 중심까지의 거리 30,000광년보다 가깝다. 큰개자리 왜소 은하에는 약 10억 개의 항성이 있다.

큰개자리 왜소 은하는 지구와 가장 가깝지만, 우리 은하(Milky Way)의 가스와 먼지가 가로막고 있어 일반 망원경으로는 관측되지 않는다. 이 은하는 특별한 방법을 이용한 적외선 관측에서 확인되었다. 큰개자리 은하 주변에서는 신비스런 가스의 흐름(stream of the Canis Major Galaxy)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관측되고 있다.

칠레의 VLT(Very Large Telescope) 천문대 왼쪽에 안드로메다 은하가 보인다.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골리스(regolith)란 무엇인가? (0) | 2025.02.13 |
---|---|
인공 중력을 만드는 3가지 방법 (0) | 2025.02.13 |
지능이 높은 무척추동물 옥토퍼스(octopus) (0) | 2025.02.13 |
오메가-3 영양제 효과 있나 없나? 알고보니··· (1) | 2025.02.13 |
따개비와 홍합이 물속에서 초강력 접착제를 만드는 이유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