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능이 높은 무척추동물 옥토퍼스(octopus)

과학 상식

지능이 높은 무척추동물 옥토퍼스(octopus)

sciencewave 2025. 2. 13. 10:51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커다란 둥근 머리에 8개의 다리가 달린 문어(옥토퍼스)는 중요한 해산 식품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동해에는 세계에 사는 300여 종의 문어 중에 최대형인 대왕문어(또는 대문어)가 산다. 다리를 완전히 펼친 최대 길이가 4.3m에 이르고 무게가 70kg을 넘기도 하는 대왕문어는 무척추동물 중에 가장 지능이 높으며, 뛰어난 촉각과 미각과 시각 신경을 가졌다. 문어의 한자 文魚는 '지능 높은 어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무척추동물 중에 두족류에 속하는 문어류

과학자들은 세상의 동물을 척추(등뼈)의 유무에 따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크게 나눈다. 다시 무척추동물은 10여 가지 작은 무리로 나뉘는데, 대표적인 무리에 강장동물(해파리 말미잘), 연체동물(문어, 달팽이, 조개), 환형동물(지렁이), 절지동물(곤충, 거미), 극피동물(성게, 불가사리) 등이 있다.

 

문어, 달팽이, 조개, 굴 등이 포함되는 연체동물의 종류는 100,000종 이상이며 대부분 바다에서 산다. 연체동물 중에 친숙한 조개와 굴 종류는 2개의 껍데기가 덮여 있어 이매패류(二枚貝類)라 하고, 소라와 달팽이처럼 배(腹)를 다리로 사용하는 무리는 복족류(腹足類), 머리에 다리가 달린 종류들은 두족류(頭足類)라 한다.

 

 

연체동물은 거의가 중요 식품이 되고 있으며, 두족류(두족목)에는 문어 외에 오징어, 갑오징어, 낙지, 꼴뚜기, 쭈꾸미 등이 있으며, 세계에는 300여 종이 살고 있다.

 

 

 

 

두족류 중에 가장 원시적인 앵무조개(Nautilus pompilius)는 ‘조개’라 불리지만 분류학적으로 두족류에 속한다. 앵무조개의 학명인 Nautilus는 ‘항해자’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이다.

 

문어의 대표적인 특징

문어 중에 가장 큰 대왕문어(Enteroctopus dofleini)는 우리나라 동해와 북미대륙에서 알래스카에 이르는 태평양, 캄차가 반도 주변 바다에 산다. 최대로 자란 것은 다리를 사방 펼친 길이가 4m에 이르며, 우리나라에서는 길이 3m, 무게 48kg인 대왕문어가 잡힌 기록이 있다. 아래에 소개한 문헌에 의하면 길이가 9m이고 무게가 272kg인 대왕문어가 1976년에 알래스카 바다에서 잡혔다고 한다.

High, William L. (1976)."The giant Pacific octopus"(PDF). Marine Fisheries Review. 38(9):17–22. Archived from the original(PDF) on 23 January 2017. Retrieved 4 November 2016.*옥토퍼스1

두족류의 학명인 Cephalopoda는 ‘머리와 다리’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이다. 문어의 학명인 Octopusocto는 8, pus는 다리라는 뜻이다. 문어 종류 중에 열대 바다에 흔한 참문어(Octopus vulgaris)는 머리 길이가 25cm, 8개 다리를 펼친 길이가 1m, 무게는 9kg 정도까지 자란다.

 

 

 

 

문어의 머리는 자체가 몸통이고, 그 몸통에 다리가 달려 있다. 머리에서 뻗어나온 8개의 다리는 전부 길이가 같으며, 다리가 뻗어나온 부분은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들의 몸은 전체적으로 좌우대칭 형태이다. 머리라고 부르는 부분은 커다란 주머니(외투강 mantle) 형태이며, 입과 뇌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내장을 갖추고 있다. 그들의 다리는 해저를 기어다닐 때 이용하며, 흡반에는 대단히 민감한 촉각과 미각 신경이 있다.

 

 

 

 

주머니 같은 큰 머리에는 시력이 뛰어난 두 눈(복눈)이 있으며, 주둥이는 8개의 다리가 뻗어나오는 중간에 있다.

 

 

 

 

새의 부리를 닮은 주둥이(beak)는 포획한 먹이(게, 소라, 조개, 불가사리, 물고기 등)의 단단한 껍질과 뼈를 깨물어 부술 정도로 강하다.

 

 

 

문어의 머리 속에는 뇌를 비롯하여 위, 간, 신장, 난소, 먹물주머니, 아가미, 머리 안과 밖으로 물이 드나드는 사이폰(siphone, funnel) 그리고 3개의 심장이 있다. 심장 2개는 아가미로 혈액을 보내고, 나머지 심장 1개는 몸 전체에 혈액을 밀어보낸다. 문어의 혈구 성분은 철 대신 구리가 포함된 헤모시아닌(haemocyanin)이다. 헤모시아닌은 수온이 낮은 조건(바다 속)에서 산소를 잘 운반한다. 그래서 문어의 혈액은 붉지 않고 청색이다.

문어는 무리를 이루지 않고 독거생활을 한다. 그들은 바위나 산호의 좁은 틈새에 몸을 감추고 자신의 세력권을 만들어 접근하는 먹이를 잡는다. 그들을 노리는 큰 어류나 바다사자류, 고래 등이 접근하면 먹물을 쏟아내어 피하는 행동을 하며, 숨어있는 구멍 입구를 돌로 막기도 하는 지능이 있다. 그들은 주둥이에서 독물질을 분비하지만 인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문어는 머리(외투강) 속에 채운 물을 출수공(사이폰)으로 강력하게 내뿜어 그 반작용으로 제트 추진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물을 뿜어내는 사이폰은 강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조직이다.

 

문어는 주변 환경에 따라 체색을 회색, 갈색, 적황색, 청색, 녹색으로 변색하는 능력이 있다. 잠간 사이에 체색을 변할 수 있는 것은 피부에 색소세포가 가득한 때문이다. 그들은 주로 밤에 사냥을 한다.

 

 

 

 

문어가 교미할 때는 수컷이 암컷에 접근하여 자신의 정자를 다리로 암컷의 난소에 집어넣는다. 암컷은 수정된 알을 바위나 산호에 붙여놓은 다음, 알 주변을 떠나지 않고 지키면서 물을 휘저어 알의 부화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교미가 끝난 수컷은 몇 주일 뒤 수명을 다하고 죽는다.

산란한 알은 약 160일 후 부화하며, 알래스카처럼 추운 바다에서는 부화에 약 10개월이 걸린다. 놀라운 것은 알이 부화하는 동안 암컷은 단식 상태로 알을 지키다가 부화가 끝나면 생애를 마친다.

 

 

 

 

대왕문어는 최대 길이 4.3m, 무게 71kg이나 된다. 대왕문어가 일생 동안 산란하는 알의 수는 10,000-70,000개이고,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즉시 사냥을 시작하고 먹물도 뿌린다. 대형 문어를 보면 그들의 수명이 길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문어의 수명은 종류에 따라 겨우 1-3년 정도이다.

 

문어는 지능이 높으며, 학습 능력이 있고, 도구도 사용하며, 위치를 기억하는 능력이 있다. 문어의 몸은 뼈가 없는 대신 근육이 90%이다. 그들은 근육을 최대한 수축하는 방법으로 대단히 좁은 틈새를 통과할 수 있다. 문어의 머리는 머리라고 하지만 내부 공간은 물이 가득한 주머니이기 때문에 외투강(外套腔 mantle)이라 불린다. 그들의 피부 세포는 미끈거리는 점액질로 덮여 있다.

 

 

 

 

문어가 가진 8개 다리 중에 2개는 해저를 기어가는 역할을 하고 나머지 6개가 먹이를 잡는다. 그들은 몸의 크기에 비교한 뇌의 크기가 무척추동물 중에 가장 크다. 대왕문어의 흡판은 전부 2,240개이며, 흡반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여 먹이를 잡고 움직인다.

문어는 소리를 듣는 우수한 청각기관이 있고, 흡반에는 촉각과 동시에 먹이의 맛을 판단하는 감각세포가 있다. 사람들은 문어의 흡반이 제 살에도 붙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지만, 흡반의 신경은 자기 몸을 인식하는 능력이 있다.

 

 

 

 

문어의 먹물은 소화기관 밑에 붙어있는 먹물샘에서 나온다. 평소 체내에서 생산한 먹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위협을 받으면 사이폰을 통해 뿜어낸다. 먹물에는 끈끈이 성분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포식자들은 먹물을 보면 피하게 된다. 먹물의 성분은 검은 탄소 입자가 아니라 멜라닌 성분이다.

두족류의 조상은 5억 3,000만 년 전에 나타났다. 마치 우주의 괴물처럼 보이는 문어의 모습은 수족관에서도 양식하고 있지만, 그들의 생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 YS

 

 

 

오메가-3 영양제 효과 있나 없나? 알고보니···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이른바 '혈관 청소부'라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