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개발도상국 빈곤층에서 난방과 요리를 위해 플라스틱을 태우는 위험한 선택을 하고 있어 환경과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를 낳고 있다.
최근 커틴 대학교(Curtin University)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The Use of Plastic as a Household Fuel among the Urban Poor in the Global South(글로벌 남반구 도시 빈곤층의 가정 연료로서 플라스틱 사용)>가 과학 저널 Nature Cities에 게재되면서, 국제 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다.
에너지 빈곤으로 플라스틱 선택, 위험한 대안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 개발도상국 도시의 많은 가구는 전기나 가스와 같은 청정 연료를 사용할 경제적 여력이 부족하다.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들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나무나 숯마저도 도시 개발과 삼림 감소로 인해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도시 곳곳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연료 자원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플라스틱 연소는 환경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플라스틱을 태울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 퓨란, 중금속 등 독성 물질은 폐 질환, 암, 면역 저하 및 신경계 이상을 유발하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 치명적이다.
다이옥신은 1급 발암물질로 폐 질환, 면역 저하, 호르몬 장애를 일으키며, 퓨란은 만성 호흡기 질환과 간암·혈액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납·카드뮴·수은과 같은 중금속은 신경계 손상, 신장 질환,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한다.
급속한 도시화 폐기물 시스템 역부족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인구 증가와 함께 쓰레기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빈곤층 가정은 전통적인 연료를 구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연료로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플라스틱을 연료로 사용하는 문제는 도시 빈곤층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나이지리아의 한 조사에서는 전체 가정의 13%가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한다고 응답했으며, 인도네시아의 토양과 식품 샘플에서도 플라스틱 연소로 인해 발생한 독소가 검출되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많은 개발도상국 도시들은 기본적인 쓰레기 수거 서비스조차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분석에 따르면 2060년까지 전 세계 플라스틱 소비량이 현재보다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환경 불평등 문제도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연료 지원, 재활용 프로그램 도입 시급
현실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지보다 지원이 절실하다. 저소득층이 전기, 가스 등 안전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국제 기구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청정 연료 보조금을 제공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 보급 정책을 추친할 필요가 있다.
또 폐기물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여 빈민가와 저소득 지역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쌓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효과적인 재활용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스틱 연소의 위험성에 대한 지역사회 교육도 필요하다. 환경 및 건강 교육 캠페인을 통해 대체 연료 사용을 촉진하고, 주민들에게 보다 안전한 조리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지속 가능한 조리 방식을 연구 및 보급해야 한다. 바이오매스 연료, 태양열 조리기 등 혁신적인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에너지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금값, 사상 최고가 경신… 금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오르는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최근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의 3원색과 빛의 3원색은 왜 다른가? (0) | 2025.03.10 |
---|---|
얼린 콜라가 폭발하는 과학적 이유 (0) | 2025.03.10 |
금값, 사상 최고가 경신… 금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오르는가? (1) | 2025.03.06 |
우주의 숨은 별, 8천만 해상도로 보니···'경이로워' (1) | 2025.03.06 |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박테리아는?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