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생일 케이크 대신 낙하산을 선택했다. 올해 일흔을 맞은 NASA 우주비행사 돈 페팃은 케이크나 촛불 대신, 우주선 안에서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며 특별한 생일을 보냈다. 220일간의 우주 임무를 마치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떠난 그는, 낙하산을 펼친 소유즈 캡슐을 타고 카자흐스탄의 광활한 평원에 착륙했다.
현지시간 4월 21일 새벽,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MS-26)은 카자흐스탄 제즈카즈간 인근 초원에 착륙했다. 이 우주선에는 페팃과 함께 러시아 우주비행사 알렉세이 오브치닌, 이반 바그너도 탑승해 있었다. 착륙 직후, 구조대가 세 사람을 무사히 꺼냈고, 이들은 엄지손가락을 들어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페팃은 이번 임무로 총 220일간 우주에 머물렀다. 지구를 3,520번 돌았고, 비행 거리만 약 9,330만 마일(약 1억 5천만 km)에 달한다. 이는 그의 네 번째 우주 비행이자, 지금까지 누적된 우주 체류 기간이 18개월을 넘은 기록이다.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마지막 날, 돈 페팃은 동료 우주비행사들과 작별 인사를 나눴다. 같은 임무를 수행한 NASA의 비행 엔지니어 니콜 에이어스는 “오늘 돈 페팃과 작별 인사를 했다. 멋진 임무를 수행했고, 이곳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기에 아쉬움이 남는다”라고 전했다. 이어 “함께한 시간은 정말 소중했고, 이 훌륭한 사람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다. 무사히 착륙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사진=Friends of NASA]
이번이 네 번째 비행인 돈 페팃은 지금까지 총 18개월 이상을 우주에서 보냈다. [사진=NASA]
물 정화부터 불꽃 실험까지…ISS에서 수행한 과학 임무
돈 페팃과 동료 우주인들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다양한 과학 실험을 수행했다. 이들은 우주 환경에서의 물 정화 기술을 시험하고, 무중력 상태에서 식물이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관찰하는 식물 생장 실험을 진행했다. 특히 식물의 뿌리 방향 감지, LED 조명 반응, 수경 재배 시스템 등이 주요 관찰 대상이었다.
화재 확산 실험 임무도 수행했다. 무중력 환경에서는 불꽃이 지구와 다르게 퍼지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의 연소 특성과 화염의 움직임을 분석해 우주 내 화재 안전성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이외에도 신체 생리 변화 모니터링, 우주복 센서 실험, 소형 위성 운용 실험 등 다방면의 연구가 함께 이뤄졌다.
페팃과 두 동료는 220일간 지구를 3,520번 돌며 총 9,330만 마일을 이동했다.
지구 귀환 시, 낙하산은 생명줄과도 같다. 소유즈 캡슐은 대기권에 진입해 속도를 줄인 뒤, 고도 약 10km에서 작은 낙하산을 먼저 펼쳐 자세를 안정시킨다. 이후 초대형 주낙하산이 전개되어 착륙 속도를 크게 줄인다.
마지막 순간에는 지상 1m에서 역추진 로켓이 점화돼 충격을 흡수한다. 이 다단계 감속 시스템 덕분에 우주비행사들은 고속 귀환 후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다. [사진=NASA]
NASA 최고령 우주비행사 외, 활약 중인 베테랑들
한편, NASA에는 돈 페팃 외에도 오랜 시간 우주와 함께한 배테랑 우주비행사들이 있다. 대표적인 인물은 존 글렌이다. 그는 1962년 미국 최초로 지구 궤도를 비행한 인물이자, 1998년에는 77세의 나이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탑승해 세계 최고령 우주비행사 기록을 세웠다.
또 다른 예로는 페기 윗슨이 있다. 그녀는 NASA 역사상 최장 우주 체류 기록(총 665일)을 보유한 여성 우주비행사이며, 2017년에는 57세로 국제우주정거장 지휘관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에도 민간 우주 기업을 통해 다시 우주로 향하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이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방사성 탄소를 이용한 연대 측정 오래된 화석이나 유물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니 '라이크 제니','만트라'···자기긍정 메시지는 뇌과학과 연결된다 (0) | 2025.04.23 |
---|---|
제임스 웹 외계 신호 포착, K2-18b 생명체의 흔적일까 (0) | 2025.04.23 |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이란? (0) | 2025.04.21 |
로봇공학의 3원칙이란? (0) | 2025.04.21 |
초우라늄 인공원소란?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