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호주 대형 초식동물인 거대 캥거루의 멸종 원인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과학자들은 최근 화석 분석을 통해 약 30만년 전 기후 변화가 이 거대 캥거루의 멸종을 일으킨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밝혀냈다. 연구자들은 기후 불안정성이 거대 캥거루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들의 생태적 특성이 어떻게 이 변화를 극복하지 못했는지를 규명했다.
프로템노돈(Protemnodon) 거대 초식동물
거대 캥거루는 현재의 캥거루보다 몸무게가 두 배나 더 무거운, 약 170킬로그램에 달하는 초식동물이었다. 이들은 500만 년 전부터 호주 대륙을 돌아다녔으며, 현재의 캥거루와 비슷한 방식으로 풀을 먹고 자생적으로 살아갔다. 그러나 거대 캥거루는 울창한 열대우림을 기반으로 한 생태계에서 살아가던 동물로, 열대우림이 서서히 변화하면서 그들의 생존 방식도 큰 영향을 받았다.
기후 변화와 생태적 변화
거대 캥거루의 멸종은 기후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약 300,000년 전, 호주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기후가 급격히 변했다. 연구자들은 이 시기가 열대우림의 감소와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기후는 점차 건조하고 불안정해졌으며, 이는 열대우림의 생태적 특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다. 거대 캥거루는 원래 자신들의 서식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려 했고, 먹이를 찾기 위해 멀리 이동하기보다는 자신이 아는 환경 내에서만 활동했다.
이들은 식량을 구하기 위해 넓은 범위를 이동하는 것보다는 가까운 곳에서 살아가는 편을 선호했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의 범위가 줄어들고, 자원이 점차 부족해지면서 거대 캥거루는 서서히 생존의 위협을 받았다. 이 시기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던 것이 멸종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연구팀의 추론이다.
멸종의 과학적 추론
연구팀은 거대 캥거루의 식습관을 추적하기 위해 화석화된 치아에서 화학 성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멀리 이동하지 않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그들의 생태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특히, 연구팀은 고대 캥거루들의 이동 경로와 식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인 "고대 GPS 추적기" 같은 기법을 사용했다. 화석에서 추출한 화학 성분들이 이들의 이동 범위와 식물의 분포 등을 정확하게 나타내주었다.
거대 동물의 법랑질 단면. 샘플 QML1311H-WIGL8543부터 QML1312-WIGL8554까지. 스트론튬 횡단면은 법랑질/상아질을 따라 이어지는 큰 함몰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사진= PLOS One (2025). DOI: 10.1371/journal.pone.0319712]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변하면서, 거대 캥거루는 더 이상 자신들이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었다. 그들의 생태적 특성은 기후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했다. 연구자들은 "거대 캥거루의 생태적 한계가 기후 변화와 맞물려 멸종을 초래한 중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멸종 이후, 남은 흔적들
거대 캥거루의 멸종은 호주의 다른 지역과 파푸아뉴기니에서도 일어났으며, 이는 당시 기후 변화가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시사한다. 거대 캥거루는 생존을 위해 멀리 이동할 필요가 있었지만, 그것이 가능하지 않은 환경적 변화가 그들을 멸종에 이르게 했다. 한편, 거대 캥거루와 비슷한 다른 동물들은 기후 변화에 적응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생존을 이어갔다는 점에서, 각 종의 생태적 특성과 그들의 환경 적응력의 차이가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방법을 통해 멸종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고대 화석에서 추출한 화학 성분을 통해 고대 동물들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은 이제까지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혁신적인 방법이었다. 앤서니 도세토 과학자는 "이러한 새로운 기법들은 개체별로 보다 정확한 멸종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PLOS One》 저널에 발표되었으며, 호주 대형 동물군의 멸종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적 요소가 동물들의 생태적 특성에 미친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허블 우주망원경 35주년, 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가 허블 우주망원경 발사 35주년을 맞아 최근 촬영된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든 데이터의 부활, 20년 전 위성 관측 자료로 밝혀낸 태양계 분자운 (0) | 2025.05.07 |
---|---|
블랙홀 중력파 모드 불협화음, 30년 만에 원인 규명 (0) | 2025.05.07 |
허블 우주망원경 35주년, NASA가 공개한 ‘우주의 창’ (0) | 2025.05.07 |
우리는 어떻게 ‘나’를 인식할까? (1) | 2025.05.07 |
탈모, 스트레스+노화 때 가속 폐달— 생존 단백질 MCL-1 감소가 원인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