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스타틴(애스터틴) 원소의 성질과 이용

과학 상식

아스타틴(애스터틴) 원소의 성질과 이용

sciencewave 2025. 6. 10. 14:30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아스타틴(애스터틴 Astatine, At)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85

󰋯  족:6주기(17족), 할로겐 원소

󰋯  원자량:210

󰋯  밀도:?

󰋯  각 전자각의 전자 수:2, 8, 18, 32, 18, 7

󰋯  mp:302℃ / 󰋯bp:337℃

 

아스타틴(애스터틴)은 주기율표에서 할로겐족에 속하는 요드 아래에 있는 원소이다. 이 원소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코르손(Dale R. Corson 1914- ), 맥켄지(Kenneth Ross MacKenzie 1912-2002), 시그리(Emilio Segre 1905-1989) 세 방사선과학자 팀이 1940년에 비스무트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켜 만들었다. 이 원소의 이름은 그리스어 astatos (불안정한)로부터 유래했다.

 

자연계에서는 우라늄과 토륨의 동위원소가 붕괴되는 과정에 아스타틴이 극소량 생산되는데, 지구 전체에 존재하는 아스타틴의 양은 28g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가속기를 이용하여 지금까지 인공적으로 합성된 아스타틴의 양은 100만분의 1g에 불과하여, 이런 미량으로 원소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연구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용도 역시 거의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아스타틴은 상온에서 검은색을 가진 고체이며, 현재까지 32종의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붕괴되어 비스무트, 폴로늄, 라돈 또는 다른 아스타틴 동위원소로 변한다. 이들 중에 가장 안정적인 At-210의 반감기는 8.1시간이다. 아스타틴의 방사선은 위험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취급한다.

 

 

 

치매 정복, 어디까지 왔나···‘완치 불가능’에서 ‘관리 가능한 질병’으로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치매는 이제 단순한 노년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