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WAVE
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
sciencewave.kr
멘델이 밝혀낸 3가지 유전 법칙
모든 생물은 암수 성(性)을 가지고 번식하는(유성생식) 무리와, 암수 구분이 없는 무성생식(無性生殖) 무리가 있다. 유성생식을 하는 동식물에서 부모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현상(유전 遺傳)은 과거부터 알고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어떤 법칙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실하게 밝혀낸 과학자는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 그레고리 멘델(Gregor Johann Mendel 1822-1884)이다.
멘델은 식물학자이면서 가톨릭교 아우구스티누스 교단의 수도원 성직자이기도 했다. 그는 수도원의 공터에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완두(豌豆 pea) 종류를 심어, 서로 교배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면밀하게 조사하는 실험에 착수했다. 그가 교배실험에 사용한 완두의 특징들은 씨의 모양(둥근 것과 주름진 것), 씨의 색(회색과 흰색), 꼬투리의 모양(불룩한 것과 납작한 것), 꼬투리의 색(녹색과 황색), 꽃의 색(황색과 녹색), 꽃이 달리는 모양(흩어진 것과 모인 것), 그리고 줄기의 길이(긴 것과 짧은 것) 이렇게 일곱 가지였다.
그는 1856년부터 1863년까지 7년간 여러 세대에 걸쳐 29,000포기의 완두를 길러내며 실험의 결과를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오늘날 ‘우열의 법칙(또는 우성의 법칙)’, ‘분리의 법칙’, 그리고 ‘독립의 법칙’이라 불리는 유전의 기본 법칙(Mendel's Laws of Heredity)을 발견했다. 그는 이 결과를 1865년에 학술지에 발표했다.
우열의 법칙(우성의 법칙) - 제1대 잡종에서는 대립형질(서로 다른 형질) 중에 우성(優性) 형질만 나타난다.
분리의 법칙 - 1대 잡종을 자가수분(自家受粉)하면, 제2대에서는 우성과 열성(劣性) 형질이 3:1로 분리되어 나타난다.
독립의 법칙 - 두 가지 이상의 형질이 유전될 때, 각 형질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의 법칙을 따른다.
멘델이 발견한 유전의 법칙은 당시에는 주목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멘델이 세상을 떠나고 16년이 지난 1900년에 3사람의 유럽 과학자들이 각기 유전실험을 해본 결과, 멘델의 논문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영국의 유전학자 윌리엄 베이트슨(William Bateson 1861-1926)은 멘델의 발견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오늘날 사용하는 유전학(genetics), 유전자(gene), 대립유전자(allele)와 같은 말을 처음 만들기도 했다.
멘델이 유전법칙을 발견할 당시에는 염색체라든가 유전인자 등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멘델의 유전법칙이 인정된 이후 유전학은 큰 발전을 하기 시작했다. 멘델은 ‘유전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붉은달은 무슨 뜻일까? ‘블러드 문’의 이유와 의미
SCIENCE WAVE사이언스웨이브는 과학으로 마법 같은 세상을 만듭니다.sciencewave.kr 밤하늘에 떠오른 붉은 달을 본 적이 있는가? 월식 때마다 나타나는 '블러드 문(Blood Moon)'은 마치 우주가 그린 한 폭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친구 달이 없다면? (1) | 2025.01.16 |
---|---|
소리의 속도 '마하'란? (0) | 2025.01.16 |
붉은달은 무슨 뜻일까? ‘블러드 문’의 이유와 의미 (0) | 2025.01.16 |
지구는 왜 자전하게 되었을까? (0) | 2025.01.16 |
지구의 현재 나이와 미래의 수명은 ?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