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위' 태그의 글 목록

단위 3

내 코가 석 자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내 코가 석 자​​우리 나라와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자' 또는 '척'이란 단위의 근원은 팔꿈치에서 손목까지의 길이이다. 흔히 사용하는 속담 중에 아주 쉽다는 뜻으로 '삼척동자도 안다'는 말이 있다. 삼척동자란 키가 석 자인 어린이를 뜻한다. 낚시질을 할 때 큰 물고기를 잡으면 '월척(越尺)'을 낚았다고 하는데 정확한 의미는 크기가 한 척이 넘는다는 뜻이다. 또한 옛날 무사들이 옆구리에 차고 다니던 칼의 길이가 석 자 정도 되는 길이였기 때문에 '석 자 칼이 사람을 해친다'는 말도 있다. 이외에..

과학 상식 2025.06.12

세 치의 혀로 나라를 구한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세 치 혀로 나라를 구한다​​서로 의견이 다른 사람들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설전을 벌이는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다'는 말은 조금도 양보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한 친척들 사이에 촌수가 조금 멀어지는 것을 '한 치 건너 두 치'라고 한다. 이외에도 일상회화에서 '치'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말을 잘 하는 사람에게는 '세 치 혀를 잘 놀린다'고 한다. 짧은 혀로 말을 잘 해서 일이 제대로 처리되었다는 뜻이다. 그래서 속담 중에는 '세 치 혀로 나라를 구한다'는 말도 있다.피..

과학 상식 2025.06.12

임금님이 하사한 '한잔'의 차이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임금님이 하사한 술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애주가 중에 손순효(1427~1497)가 있다. 그는 조선 성종대의 문신으로 1457년(세조 3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형조참의, 경상도 관찰사, 도승지, 형조판서, 대사험 등을 역임하고 좌참찬에 이르렀다. 그는 성리학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아 성종의 신망을 한 몸에 받았다. 청백리로서 임금의 총애를 받아 요직을 두루 거친 신분이지만 손순효는 항상 과음하는 술버릇이 있었다. 그래서 성종은 그의 과음을 걱정하여 "하루에 한 잔 이상은..

과학 상식 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