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산소' 태그의 글 목록

산소 6

초기 우주 은하 산소 발견… 기존 진화 이론 '흔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의 첫 은하들은 천천히 자라고, 천천히 진화했을 것이라는 게 지금까지의 정설이었다. 하지만 최근 134억 광년 떨어진 초기 우주의 은하에서 산소가 발견됐다. 우주가 태어난 지 불과 3억 년이 지났을 때 이미 성숙한 별의 흔적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은하 중 가장 먼 곳에 있는 천체로, 이미 진화가 상당히 진행됐음을 보여준다.​우주 가장 먼 곳에서 확인된 산소의 흔적 이탈리아 피사의 스쿨라 노르말레 수페리오레와 네덜란드 레이던 천문대 연구진은 최근, 지구로부터 약 134억 광년 떨어진 은하 JADES-GS-z14-0를 관..

과학 상식 2025.04.02

유기물과 무기물 어떻게 구분할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리는 매일 유기물과 무기물 속에서 살아간다. 아침에 마시는 커피, 우리가 숨 쉬는 공기, 건물의 철골 구조까지 모두 유기물과 무기물의 범주에 속한다. 과학적으로 유기물과 무기물은 탄소의 존재 여부와 화학적 성질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유기물은 생명체의 기본 구성 요소로 작용하는 반면, 무기물은 생명체의 활동과 무관하거나 필수적인 환경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다면 두 물질의 차이는 무엇인지 과학적 관점에서 들여다 봤다.​유기물과 무기물의 정의사전적으로 유기물은 생물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의미하며,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과 같은 생명체의 구성 ..

과학 상식 2025.04.02

기체의 분자 수에 대한 '아보가드로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기체의 분자 수에 대한아보가드로(Avogadro)의 법칙  화학을 공부하기 시작하면 원자, 분자, 기체의 성질 등을 배우게 되고, 곧 ‘아보가드로의 법칙’과 ‘아보가드로 수’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게 된다. 이탈리아의 과학자 아메데오 아보가드로(Amedeo Avogadro 1776-1856)는 교회법에 대한 공부를 하여 법학박사 학위를 가졌으나, 자연과학을 독학하여 일생 수학과 물리학을 연구하는 토리노 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아보가드로가 살던 당시의 과학자들은 원자라든가 분자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었다. 그는 게이..

과학 상식 2025.03.25

프루스트의 일정성분비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프루스트(Proust)의 일정 성분비의 법칙   화학시간에 화합물과 혼합물의 차이에 대해 배운다. 물은 산소와 수소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화합물이고,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반면에 소금물은 물과 소금이 섞인 혼합물이고, 공기는 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이다. 즉 혼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단지 섞여만 있는 것을 말한다.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의 질량비(質量比)는 항상 일정하다.” 예를 들자면, 물(H2O)은 수소 2분자(질량비는 11.2%)..

과학 상식 2025.03.24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광합성 과정의 잉겐호스(Ingenhousz) 이론  광합성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가장 중요하면서 신비한 화학반응이다.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연료(에너지)가 필요하듯이, 식물도 자라고 열매를 맺는 생명현상을 유지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식물은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포도당)를 생산하므로 이를 광합성이라 한다. 식물체에서 광합성이 일어날 때는 자동차와는 달리 열도 발생치 않고, 어떤 공해물질도 방출되지 않는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잉겐호스(Jan Ingenhousz, 1730-1799..

과학 상식 2025.03.24

우주와 지구를 이루는 원소는 어떤 일을 할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숨 쉬는 공기, 그리고 발밑을 딛고 있는 대지까지 모든 것이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우주에서 가장 많은 원소와 지구에서 가장 많은 원소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새삼 흥미롭다.우주에서는 수소와 헬륨이, 지구에서는 산소와 규소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생명과 문명, 그리고 우리의 미래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우주의 기본 재료, 수소와 헬륨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는 수소다. 우주 전체 질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수소는 별의 연료로 사용되며,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을 생성한다. 헬륨은 약 2..

과학 상식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