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셀레늄' 태그의 글 목록

셀레늄 5

광전도성과 광전도체란?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을 받으면 전도체가 되는 광전도성(photoconductivity) 셀레늄(셀렌, 실레니엄)이라는 원소는 독특하게 광전도체(光傳導體 photoconductor) 성질이 있다. 광전도체란 평소에는 전기를 잘 통하지 않으나,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감마선 같은 빛을 받으면 뛰어난 전도체가 되는 반도체를 말한다. 셀레늄의 경우, 빛을 받으면 전도성이 약 1,000배 증가한다. 전자기파로부터 에너지를 받으면 전도성이 좋아지는 현상을 광전도성이라 하고, 그러한 현상을 잘 나타내는 물질을 광전도체라 한다..

과학 상식 2025.05.27

셀레늄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셀레늄(셀렌, 실리니엄 Selenium, Se)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34󰋯 족:16족(4주기) 󰋯 원자량:78.96 󰋯 밀도:(동소체 종류에 따라) 적색은 4.39, 회색은 4.8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6󰋯 mp:221℃ / 󰋯 bp:685℃ 셀레늄은 적색과 회색 두 가지 동소체(同素體)가 있으며, 적색은 유리 형태의 비결정 고체이고, 회색은 무르면서 청회색을 가진 고체이다. ​셀레늄은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Jons Jakob Ber..

과학 상식 2025.05.27

원소기호의 창안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소기호의 창안과 동소체의 발견 원자론을 발표한 돌턴은 원자를 동그라미 모양으로 나타냈다. 이때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Jöns Jacob Berzelius 1779-1848)는 각 원소를 간단히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즉 그는 원소의 라틴어 이름에서 머리글자를 따서 간단히 표시하는 ‘원소기호’를 창안한 것이다. 이후 그의 제안에 따라 원소만 아니라 화합물의 이름까지 기호(화학식)로 표시하게 되었다.예를 들면 산소(Oxygen)는 O로, 수소(Hydroge..

과학 상식 2025.05.19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왜 전류가 흐를까?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자동문이 저절로 열리고, 가로등이 해가 지면 자동으로 불을 밝히는 일상. 디지털카메라는 피사체의 밝기를 감지해 적정한 노출로 사진을 찍는다. 이 모든 편리함의 이면에는 태양전지라는 과학 기술이 자리 잡고 있다. 태양전지는 어떻게 빛을 받아 전류를 생성하는 걸까?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태양전지의 근본 원리인 광전효과를 살펴보자.​빛을 흡수해 전자를 방출하는 광전효과태양전지는 주로 실리콘 같은 반도체로 만들어지며, 빛을 전기로 바꾸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태양광의 광자(Photon)가 반도체의 전자와 상호작용하..

과학 상식 2025.02.24

내열유리부터 스마트유리까지, 유리의 모든 것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유리는 지구에서 두 번째로 풍부한 원소인 규소(Si)로 만들어진다. 규소는 모래, 화강암, 점토, 규산염 등 다양한 암석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모래의 주성분인 산화규소(SiO₂) 형태로 존재한다. 모래는 1,700℃ 이상의 고온에서 액체로 변하며, 이 과정에서 규소를 추출해 유리를 만든다. ​단단하면서 빛을 잘 투과하는 특성 덕분에 약 5000년 전부터 인류가 사용해왔다. 오늘날에도 유리 제조 공업은 필수적인 산업이다. 유리 제조 시 소다(나트륨)와 석회석을 혼합하면 녹는 온도를 약 900℃로..

과학 상식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