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아노박테리아' 태그의 글 목록

시아노박테리아 4

질소 고정 미생물의 신비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질소비료를 합성하는 미생물​​질소는 생명체의 단백질이라든가 핵산을 구성하는 원소로서 중요하다. 질소는 화학 반응성이 적지만, 자연계의 뿌리혹박테리아와 남조류(藍藻類) 같은 일부 생명체는 질소 화합물을 스스로 합성하는 방법을 진화시켰다. 생물체가 공기 중의 질소를 비료가 되도록 반응시키는 것을 ‘질소 고정’(nitrogen fixation)이라 한다. 번개가 번쩍일 때는 공기 중의 질소가 고정(질소비료화)된다. 번개가 치면 초고압 전류에 의해 번개 주변이 고온으로 되고, 고온 에너지에 의해 질소와 산소가..

과학 상식 2025.05.22

탄소 제로 꿈의 신기술이란?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탄소 제로 - 꿈의 신기술 가능할까?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놓는다. 그러므로 인공 광합성 기술만 개발된다면 온실효과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공 광합성은 식량과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인류의 3대 걱정(식량 부족, 연료 부족, 온실가스 발생)이 한꺼번에 사라진다.​여러 과학자들이 꿈의 ‘인공 광합성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학교에서 배우는 광합성 과정은 다음과 같은 화학식으로 간단히 나타낸다.​물 + 이산..

과학 상식 2025.05.15

녹조와 적조의 대량 발생 원인과 대책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녹조와 적조가 대규모 발생하는 시기, 원인, 대책 해마다 여름이 오면 녹조와 적조 발생이 큰 문제가 된다. 그들의 발생 원인은 비슷하고, 각 현상을 일으키는 하등식물의 종류만 다르다. 다음은 녹조와 적조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의문과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한 것이다.​* 녹조는 어떤 식물인가?* 녹조는 언제 어떤 곳에 잘 나타나는가?* 녹조(남조)는 어떤 조건일 때 잘 발생하는가?* 대량 증식한 녹조는 물의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녹조 속에 죽어 있는 물고기는 녹조 때문일까?* 녹조 발생에 대한 대비책은?​* 바다의 적조는 왜, 언제..

과학 상식 2025.04.17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박테리아는?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35억 년 전까지 지구상에는 광합성 능력을 가진 생명체가 전혀 없었다. 이 시기에 광합성하는 단세포 생물이 육지의 담수 속에 태어났다. 오늘날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라 불리는 가장 하등한 원시 생명체(원핵생물)에 속하는 이 박테리아는 진화를 거듭하는 동안 극한지대에서 열대까지 담수이든 해수이든, 진한 소금물이든, 온천수이든, 젖어있는 땅 어디든지 물이 있는 곳이면 그곳의 주인이 되어 증식하게 되었다. ​산소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미생물이들은 모든 생명체 중에서 물속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식물..

과학 상식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