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원자로' 태그의 글 목록

원자로 10

아메리슘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메리슘(애머리시엄 Americium, Am)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5󰋯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43󰋯 밀도:12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25, 8, 2󰋯 mp:1,176℃ / 󰋯 bp:2,607℃ 아메리슘(애머리시엄)은 다른 초우라늄 원소와 마찬가지로 인공원소이다. 초우라늄 원소로서 넵투늄, 플루토늄, 퀴륨에 이어 4번째로 발견된 아메리슘은 미국 국명이 그 이름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과학 상식 2025.06.10

우라늄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라늄(유레니엄 Uranium, U)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2󰋯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38.0298󰋯 밀도:19.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21, 9, 2󰋯 mp:1,132.2℃ / 󰋯 bp:4,131℃ 우라늄(유레니엄)이라 하면 원자로와 원자폭탄을 먼저 생각한다. 우라늄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마지막 원소이면서 가장 무겁다. 자연계 원소로서 플루토늄이 가장 무겁지만, 플루토늄은 주로 인공적으로 만들기..

과학 상식 2025.06.10

토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토륨(소리엄 Thorium, Th)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0󰋯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32.0381󰋯 밀도:11.7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18, 10, 2󰋯 mp:1,842℃ / 󰋯bp:4,788℃ 은백색의 방사성 금속인 토륨은 공기 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아주 느리게(몇 개월 걸려) 검은색 산화물로 변한다. 토륨의 산화물은 녹는 온도가 가장 높은(약 3,300℃) 물질 종류에 속한다.순수한 토륨..

과학 상식 2025.06.10

홀뮴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홀뮴(Holmium, Ho)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67󰋯 족:3족(6주기), 란타넘족의 11번째 희토류 금속원소󰋯 원자량:164.93󰋯 밀도:8.79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29, 8, 2󰋯 mp:1,461℃ / 󰋯 bp:2,720℃ 홀뮴은 희토류 금속 중에서 매장량이 지극히 적은 밝은 은색의 원소이다. 스위스의 두 과학자는 1878년에 미지의 물질을 분광 스펙트럼 분석하던 중에 특별한 파장의 빛이 있다는 것을 알았으나 그것이 어떤 ..

과학 상식 2025.06.10

카드뮴(캐더미엄)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카드뮴(캐더미엄 Cadmium, Cd)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48󰋯 족:12족(5주기) 전이원소)󰋯 원자량:112.411󰋯 밀도:8.65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8, 2󰋯 mp:321.07℃ / 󰋯 bp:767℃ 카드뮴(영어 발음은 캐더미엄)은 칼로 자르면 잘라질 정도로 무른 은빛 금속이다. 카드뮴의 화학적 성질은 같은 족에 속하는 아연(Zn)과 많이 닮았다. 지각(地殼)에 존재하는 카드뮴의 양은 매우 적어, 아연의 약 1,000분의..

과학 상식 2025.05.29

지르코늄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르코늄(Zirconium, Zr)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40󰋯 족:4족(5주기) 전이금속원소󰋯 원자량:91.224󰋯 밀도:6.52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10, 2󰋯 mp:1855℃ / 󰋯 bp:4409℃ 지르코늄은 부식(腐蝕)과 고온에 잘 견디는 강한 전이금속원소이다. 이 원소는 공기 중에서 산소와 빠르게 결합하여 그 표면을 산화지르코늄으로 덮어 보호하기 때문에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는다. 지르코늄이라는 명칭은 그것이 포..

과학 상식 2025.05.27

바나듐(버네이디엄)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바나듐(버네이디엄 Vanadium, V)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23󰋯 족:5족(4주기)󰋯 원자량:50.94󰋯 밀도:6.0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1, 2󰋯 mp:1,910℃ / 󰋯 bp:3,407℃ 바나듐(버네이디엄)은 밝게 반짝이는 전이금속으로, 다소 무르지만 부식에는 극히 강한 원소이다. 이 원소는 자연계에 금속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약 65가지 광석에서 미량씩 발견되며, 전체 함량은 지각의 약 0.02%라고 추정하고 있다. 바나듐을 다..

과학 상식 2025.05.27

나트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나트륨(Sodium, Natrium, Na) 원소의 성질과 이용​​󰋯 원자번호:11󰋯 족:1족(3주기)󰋯 원자량:22.993 󰋯 밀도:0.97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 mp:97.8℃ / 󰋯 bp:883℃ ​나트륨 원소의 성질​나트륨은 지구상에 6번째로 풍부하게 존재하는(지각의 2.63%) 원소로서, 화학반응성이 대단히 강한 밝은 은빛 금속이다. 금속으로 분류되지만 나트륨은 물보다 가볍고, 칼로 자를 수 있을 정도로 무른 물질이다.​‘나트륨(natrium)’은 ..

과학 상식 2025.05.26

온실가스가 없는 대체에너지의 종류와 전망

Science wave |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중요 대체에너지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에너지를 '대체(代替)에너지'라 한다. 중요 대체에너지로는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풍력발전, 지열발전, 조력발전, 연료전지 등이 있다. 날이 갈수록 화석연료가 귀해지므로 대체에너지 산업은 발전할 것이 분명하다. 1. 수력발전소 증설에는 한계가 있다수력발전은 자연의 힘을 이용하는 보편적인 발전방식이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80배나 크다. 그러므로 물이 떨어지는 중력은 매..

과학 상식 2025.05.15

초전도 현상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극저온에서 나타나는초전도(超電導) 현상(Superconductivity) 섭씨 영하 200도 정도의 매우 낮은 온도가 되면 어떤 도체는 저항 없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에너지의 소실이 없게 된다.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초전도체(superconductor)라 하며, 오늘날 초전도체는 새로운 기술에 응용되고 있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하이케 카메를링 오네스(Heike Kamelingh Onnes 1853-1926)는 냉동기술의 선구자이다. 그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물질의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었다. ..

과학 상식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