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화학반응' 태그의 글 목록

화학반응 6

마이크로 번개(Microlightning), 지구상 최초의 생명 기원일까? 새로운 가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구상 최초의 생명은 어떻게 탄생했는가는 여전히 인류의 관심사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원시 대양을 가르는 강렬한 번개가 생명의 기본 요소인 유기 분자를 형성했을 것이라 믿어왔다. 하지만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생명의 씨앗은 하늘에서 내리친 번개가 아니라, 파도가 부서지고 폭포수가 흩어질 때 발생하는 작은 방전, 즉 ‘마이크로 번개(microlightning)’에서 시작됐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마이크로 번개, 생명의 기본 요소였을까 지구가 탄생한 초기 수십억 년 동안, 생명체를 이루는 필수 ..

과학 상식 2025.04.09

오스트발트의 촉매작용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오스트발트(Ostwald)의 촉매작용의 원리   화학반응이 빨리 일어나게 하거나 느리게 진행되도록 작용하는 물질을 촉매(觸媒 catalyst)라 하고, 이러한 화학작용을 촉매작용(catalysis)이라 한다. 화학의 역사에서 촉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존스 야코브 베르젤리우스( 1779-1848, 동소체에 대한 베르젤리우스 개념 참조)이다. 독일의 화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오스트발트(Friedrich Wilhelm Ostwald 1853-1932)는 1894년에 촉매작용에 대한 중요한 정의를 했다. “촉매는..

과학 상식 2025.03.27

'르샤틀리에의 화학반응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학반응을 조절하는르샤틀리에(Le Chatelier)의 원리   프랑스/독일의 화학자인 앙리 루이 르샤틀리에(Hanry Louis Le Chatelier 1850-1936)는 공업적인 화학물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원리를 1888년에 발표했다. '에너지 보존법칙'(마이어의 에너지 보존 법칙, 열역학 제1법칙 참조)과 관계되는 그의 화학반응 원리는 ‘르샤틀리에의 원리’(Le Chatelier's Principle)라 한다.  “화학반응에서 반응 조건(온도, 압력, 부피 등)을 변화시키면, 화학반응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

과학 상식 2025.03.27

'이온 해리 이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레니우스(Arrhenius)의 이온 해리(解離) 이론   순수한 소금(NaCl)과 순수한 물은 중성의 화합물이며, 전류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이다. 그러나 소금을 물에 녹이면, 나트륨은 전자를 잃어 나트륨 이온(Na+)이 되고, 염소는 이온을 얻어 염소 이온(Cl-)으로 되어, 소금물은 전기가 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이온 해리’(解離)라 하고, 해리되는 화합물은 ‘이온 화합물’이라 부른다. 그리고 해리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 물을 '전해질'(電解質) 또는 '전해액'..

과학 상식 2025.03.27

게이뤼삭의 기체반응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게이뤼삭(Gay-Lussac)의 기체반응의 법칙   프랑스의 화학자이며 물리학자인 루이 게이뤼삭(Joseph Louis Gay-Lussac 1778-1850)은 기체의 성질에 대한 두 가지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로 유명하다. 첫 번째는 1802년에 발견한 ‘기체팽창의 법칙’(Pressure-Temperature Law)이고, 두 번째는 1808년에 발표한 ‘기체반응의 법칙’(Law of Combining Volumes)이다. 게이뤼삭은 위대한 실험 과학자로서 엄청난 양의 실험을 하는 동안 기체가 가진 중요한 자연의 법..

과학 상식 2025.03.25

질량불변의 법칙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라부아지에(Lavoisier)의 '질량불변의 법칙'  프랑스의 앙트왕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 1743-1794)는 ‘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살았던 당시까지 사람들은 고대의 ‘4원소설’을 믿어 물과 공기를 원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라부아지에는 물과 공기가 모두 화합물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했다. 한편 당시 사람들은 “물질이 연소하면 플로지스톤이라는 질량이 없는 물질이 생성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100여 년 동안 지배해온 플로지스톤설(Phlogiston theory)을 부정..

과학 상식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