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화학반응을 조절하는
르샤틀리에(Le Chatelier)의 원리
프랑스/독일의 화학자인 앙리 루이 르샤틀리에(Hanry Louis Le Chatelier 1850-1936)는 공업적인 화학물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원리를 1888년에 발표했다. '에너지 보존법칙'(마이어의 에너지 보존 법칙, 열역학 제1법칙 참조)과 관계되는 그의 화학반응 원리는 ‘르샤틀리에의 원리’(Le Chatelier's Principle)라 한다.
“화학반응에서 반응 조건(온도, 압력, 부피 등)을 변화시키면, 화학반응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질소(N)와 수소(H2)를 반응시키면 암모니아(NH3)가 된다. 이때의 화학방정식은 양쪽 화살표(⇄)를 사용할 수 있다.
질소 + 수소 ⇄ 암모니아
이 반응 때, 압력을 높게 하면 암모니아가 더 많이 생산되고, 압력이 낮으면 암모니아가 분해되어 질소와 수소로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화학반응에서는 압력이라든가 온도를 적절히 조정하면, 생산량은 많고 폐기물은 적게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르샤틀리에는 야금술, 시멘트와 유리, 염료, 폭약 등의 분야에서도 권위자였다. 그는 고온을 측정하는 온도계와 아세틸렌 용접 기술을 발명하기도 했다.
르샤틀리에와 비슷한 시기에 독일의 물리학자 칼 페르디난트 브라운(Karl Ferdiand Braun 1850-1918)도 독립적으로 화학반응의 원리를 연구하여 발표했다. 그래서 르샤틀리에의 원리는 ‘르샤틀리에-브라운의 원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헤르츠의 전자기파 발생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전파 시대를 연‘헤르츠’(Hertz)의 전자기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밍의 전류 법칙이란? (0) | 2025.03.27 |
---|---|
'테슬라의 교류 송전 개념'이란? (0) | 2025.03.27 |
헤르츠의 전자기파 발생 (0) | 2025.03.27 |
'마이컬슨-모얼리의 실험'이란? (0) | 2025.03.27 |
'이온 해리 이론'이란?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