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플레밍의 전류 법칙이란?

과학 상식

플레밍의 전류 법칙이란?

sciencewave 2025. 3. 27. 10:52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전류의 성질에 대한 플레밍(Fleming)의 법칙

 

 

전선 속으로 전류가 흐르면 그 주변에 직각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겨나는 현상을 ‘패러데이의 전류 유도법칙’이라 한다(패러데이의 전류 유도법칙 참조).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전기기술자인 존 앰브로스 플레밍(John Ambrose Fleming 1849-1945)은 전기 모터가 회전(운동)하는 방향, 전류가 흐르는 방향 및 자기장 사이의 관계를 왼손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을 서로 직각되게 펴서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것을 ‘플레밍의 왼손법칙’(Fleming's Left-Hand Rules)이라 하는데, 엄지는 모터의 운동방향, 둘째 손가락은 자기장의 방향, 셋째 손가락은 전류의 방향이다.

또한 플레밍은 발전기에서 생산(유도)되는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 그리고 발전기의 운동 방향 사이의 관계를 오른손의 엄지 둘째, 중지 3개를 직각으로 펼쳐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를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Fleming's Right-Hand Rules)이라 한다.

 

플레밍은 진공관과 다이오드, 열이온 밸브 등을 발명한 전기 기술자인 동시에 훌륭한 물리학자였다.

 

 

 

 

전기모터의 운동방향은 왼손법칙으로 설명한다. 손의 엄지는 운동뱡향(motion), 둘째는 자기장(field)의 방향, 중지는 전류(current)의 방향이다. 

 

 

 

 

발전기의 운동방향은 오른손 법칙으로 설명한다. 오른손의 엄지는 운동방향, 둘째는 자기장의 방향, 중지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테슬라의 교류 송전 개념'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고압전류를 교류로 송전하는테슬라의 개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