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테슬라의 교류 송전 개념'이란?

과학 상식

'테슬라의 교류 송전 개념'이란?

sciencewave 2025. 3. 27. 10:48
 

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고압전류를 교류로 송전하는

테슬라의 개념

 

  

19세기와 20세기 초는 전자기에 관련된 과학과 기술이 대단히 빨리 발전하기 시작한 시대였다. 1881년에 변압기가 발명되자 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고, 1887년부터는 발전소가 건설되어 공장과 가정에 적정한 전압으로 전류를 보내게 되었다.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1847-1931)은 1880년대에 직류 발전기를 발명하였으며, 그는 발전소를 세우고 ‘에디슨 조명 회사’를 설립하고 있었다.

 

직류(直流 direct current, DC)는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만 흐르고, 교류(交流 alternate current, AC)는 전류가 두 선 교대로 흐른다. 그런데 에디슨의 직류발전소에서 생산한 직류를 송전선으로 장거리 보내면 도중에 전력 손실이 많았다. 때문에 에디슨이 세운 직류발전소는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었다,

 

이런 시기에, 크로아티아(오늘날의)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한 전기기술자이며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r,1856-1943)는 1888년에 교류 모터를 발명하고, 고압 전류를 효과적으로 장거리 송전하는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교류 송전 방법(Tesla's Concept of Alternating Current)을 처음으로 찾아냈다.

 

“고압의 전류를 장거리 송전하려면 직류보다 교류로 보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당시, 토머스 에디슨은 테슬라의 주장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테슬라는 사업가인 조지 웨스팅하우스(George Westinghouse 1846-1914)를 설득하여 나이아가라 폭포에 최초의 교류 발전소를 건설하게 되었다. 1896년 말부터 이 수력발전소는 버펄로와 뉴욕으로 첫 송전을 시작했다. 이 발전소는 1초에 25회 주기(25Hz)로 방향이 바뀌는 교류를 송전했다. 그러나 1950년부터는 60Hz의 교류를 보내게 되었다. 우리나라 발전소의 교류 주파수도 60Hz이다.

 

테슬라는 에디슨과 경쟁하는 놀라운 발명가였다. 그는 유도 모터, 발전기, 변압기, 콘덴서, 회전날개가 없는 터빈, 자동차의 속도계, 초기 형광등 등을 발명했다. 그가 얻은 특허의 수는 700개를 넘었다. 자력선속(磁力線束) 밀도의 단위로 테슬라(T)를 사용하는 것은 그의 명예이다.

 

 

 

'르샤틀리에의 화학반응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화학반응을 조절하는르샤틀리에(Le Chatelier)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