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아르헤니우스의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 이론
‘온실효과’, '지구 온난화', '온실가스'는 오늘날 뉴스 보도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환경 용어로서, 전 인류가 걱정하는 문제의 하나이다. 온실가스(greenhouse gas)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오르자, 남북극 지역의 빙하와 빙산이 대규모로 녹아 전체 바다의 수면이 높아지고 있으며, 동시에 태풍과 홍수, 폭설, 한발 등의 기상 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하와이 섬의 모우나 로아(Maouna Loa) 화산에 있는 관측소의 조사에 따르면, 1960년에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313ppm(0.0313%)이었으나, 2013년에는 396ppm(0.0396%)까지 증가했고, 2014년에는 0.4%를 넘고 있다고 한다.
온실 효과의 원인에 대한 이론’(Greenhouse Effect Theory)은 스웨덴의 물리화학자 스반테 아르헤니우스(Svante Arrhenius, 1859-1927)가 1896년에 맨처음 발표했다. 아르헤니우스가 ‘온실 효과’를 발표하고 1세기가 지나자, 온난화 현상(global warming)은 전 지구를 위협하는 환경 재앙으로 다가왔다.
“이산화탄소, 산화질소, 메탄, 오존 그리고 플루오르화탄소와 같은 기체는 열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대기 중에 포함되는 양이 증가하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할 것이다.”
온실 속의 공기는 태양 에너지를 받아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그 공기는 외부 공기와 대류 되지 않으므로 온도의 상승이 계속된다.이런 현상을 두고 우리는 '온실 효과'라 말한다. 오늘날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온난화 현상을 ‘온실 효과’라고 말하는 것이 꼭 적절한 용어는 아니지만 통용되고 있다.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 수증기는 태양 에너지를 가장 잘 흡수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공기 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질소와 산소는 온실효과 영향이 매우 적다. 그러나 '온실가스'로 불리는 이산화탄소, 메탄, 오존과 같은 기체는 적외선 파장의 에너지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온난화 영향이 크다. 화력발전소, 공장, 자동차, 가축의 분뇨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양이 증가하고, 열대지방의 산림이 대규모로 파괴되면서 온난화 현상은 점점 가속되고 있다.
뢴트겐의 엑스선이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뢴트겐(Rȫntgen)이 발견한 엑스(X)선 전자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란트슈타이너의 'ABO 혈액형'이란? (0) | 2025.03.31 |
---|---|
톰슨의 원자 구조 모델이란? (0) | 2025.03.31 |
뢴트겐의 엑스선이란? (0) | 2025.03.27 |
오스트발트의 촉매작용의 원리란? (0) | 2025.03.27 |
로렌츠-피츠 저럴드의 수축이란?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