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뢴트겐(Rȫntgen)이 발견한 엑스(X)선
전자기파는 파장(波長)에 따라 방송파(장파, 중파, 단파, 극초단파 등),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으로 크게 나누기도 한다.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Wilhelm Conrad Rȫntgen 1845-1923)은 1895년에 엑스선을 발견했다. 그 이전까지는 이처럼 투과력이 강한 전자기파가 있다는 것을 생각지 못하고 있었다.
엑스선이 발견되면서 현대 물리학과 의학 발전에 대변화가 일어났다. 엑스선은 강한 침투력을 가진 복사선이므로, 생물의 조직에 쪼이면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엑스선은 X-radiation, X-ray, Rȫntgen ray 등으로 불리며, 자외선보다 파장이 짧다(파장 10~0.01나노미터).
뢴트겐은 진공관의 일종인 크룩스관(Crooke's tube)을 고압 전류로 실험하던 중에 바륨 플레티노시아나이드 스크린(barium platinocyanide screen)에 자기의 손 뼈 그림자가 얼핏 비치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실험을 계속하여 크룩스관에서 나오는 미지의 방사선이 두꺼운 종이, 목재, 알루미늄 등을 투과할 수 있으며, 사진건판을 감광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발견을 부인에게도 말하지 않고 실험을 계속하여 1896년에 연구 결과를 강연 형식으로 발표했다. 강연장에서 그는 실험대에 오른 여든 살의 생물학자 케리커의 주름진 손을 찍은 뼈 사진을 보여주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뢴트겐은 강력한 투과력을 가진 이 빛의 성질에 대해 확실히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의문'의 뜻으로 ‘X-ray'라고 불렀다. 새로운 빛의 발견이 세상에 알려지자, 어떤 신문에서는 “엑스선으로 집을 비추면 방안의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는 내용의 글을 싣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공상은 곧 사라지고, 몇 달 뒤부터 엑스선은 의학 진단에 이용되기 시작했다. 엑스선을 발견한 뢴트겐은 엑스선에 대한 특허나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지 않았다.
오스트발트의 촉매작용의 원리란?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오스트발트(Ostwald)의 촉매작용의 원리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슨의 원자 구조 모델이란? (0) | 2025.03.31 |
---|---|
온실효과 이론이란? (0) | 2025.03.27 |
오스트발트의 촉매작용의 원리란? (0) | 2025.03.27 |
로렌츠-피츠 저럴드의 수축이란? (0) | 2025.03.27 |
플레밍의 전류 법칙이란?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