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알고 보면 우리는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고 있다. 물, 공기, 음식, 심지어 소금과 과일에서도 발견되는 이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은 우리 몸속으로 차곡차곡 쌓인다. 당장은 별 탈이 없어 보이지만, 몸속에 축적된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 몸 곳곳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공기 중을 떠도는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가 야생 조류의 폐에 축적되고 있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플라스틱 오염이 인간을 비롯한 생태계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증거다.
폐 조직 1g당 400개 이상의 미세 플라스틱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캠퍼스(UTA)의 생물학 부교수 셰인 듀베이와 중국 쓰촨대학교 및 청두 톈푸 국제공항의 연구진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중국 서부 톈푸 공항 주변에서 채집한 51종의 야생 조류 56마리의 폐 조직을 분석했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 종당 221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되었으며, 폐 조직 1g당 416개의 입자가 검출되었다. 주요 플라스틱 유형은 파이프와 전선 절연에 사용되는 염화 폴리에틸렌과 타이어 제조에 사용되는 부타디엔 고무였다.
폐 조직 내 플라스틱 입자의 안전 기준은 아직 없지만, 높은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은 심장병, 암, 호흡기 및 생식 문제 등 심각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 듀베이 부교수는 "이러한 오염 물질이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플라스틱 오염의 유해한 영향을 완화하고 건강한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호흡량이 많고 체구가 작은 새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더 많이 흡입하게 된다. [사진=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캠퍼스 Luke Frishkoff]
숨 쉴 때마다 미세플라스틱 흡입한다
우리는 숨을 쉴 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미세플라스틱은 단순히 물이나 음식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심의 공기, 자동차 타이어 마모, 합성 섬유 의류, 실내 먼지 등에서 발생해 공기 중에 떠다닌다.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매년 수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공기를 통해 들이마실 수 있으며, 특히 실내 환경에서 플라스틱 제품 사용과 환기 부족이 농도를 더욱 높이는 원인이 된다.
문제는 미세플라스틱이 폐 속으로 들어가면 체내에서 쉽게 배출되지 않고 염증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크기가 2.5㎛ 이하의 초미세 입자는 폐포 깊숙이 침투해 산소 교환을 방해해 기관지염, 천식, 만성 폐 질환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피하려면 최대한 실내 공기를 깨끗이 유지하고,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줄이며, 합성 섬유 의류 대신 면이나 린넨 같은 자연 섬유를 선택하면서 평소 마스크를 사용하는 게 좋다.
물의 기원에 관한 새 연구, 예상보다 100억 년 빨랐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에서 물이 언제 처음 만들어졌을까? 기존 연구들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사, 미세먼지 이중고… 대기 재앙이 우리몸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07 |
---|---|
민간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성공 임무 수행한다 (0) | 2025.04.07 |
물의 기원에 관한 새 연구, 예상보다 100억 년 빨랐다 (0) | 2025.04.07 |
정전기와 일반 전기는 어떻게 다른가? (0) | 2025.04.07 |
한국인 수면 시간 세계 최하위권, 잠 못 자는 사람, 혈당 변화 살펴보니···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