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국인 수면 시간 세계 최하위권, 잠 못 자는 사람, 혈당 변화 살펴보니···

과학 상식

한국인 수면 시간 세계 최하위권, 잠 못 자는 사람, 혈당 변화 살펴보니···

sciencewave 2025. 4. 7. 10:38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수면 부족은 인내심의 한계를 부른다. 잔잔한 짜증과 나쁜 선택(ex. 고칼로리 정크푸드), 이기적인 행동에 기여한다. 몸이 피곤하니 성격도 까칠해지는 것이다. 몸과 정신 만큼이나 혈당에도 악영향을 준다. 최근 미국의 온라인 의학저널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는 최신 연구 결과를 활용해 수면 패턴과 혈당 안전성의 밀접한 관계에 대해 보도했다. 짧은 수면 시간과 늦은 취침이 혈당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대사 건강을 위협한다는 내용이다.

늦게 잠들고 적게 자면, 혈당 최악

중국 서레이크 생명과학 및 생물의학 연구소 연구팀은 연속 포도당 모니터링(CGM)을 활용해 성인의 장기적인 수면 패턴과 혈당 조절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수면 시간이 짧거나 늦게 잠들수록 혈당 변동성이 커지고, 이는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는 수면 부족과 불규칙한 취침 시간이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수면 부족은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당뇨병 위험을 상승시킨다.

 

 

중국 광저우 영양 및 건강 연구 데이터를 활용한 이번 연구는 46세에서 83세 사이의 1,15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수면 평가 후 연속 포도당 모니터링(CGM) 장치를 14일간 착용해 실시간 혈당 변동성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수면 시간을 기준으로 심각한 수면 부족(하루 4.1~4.7시간), 보통 수면 부족(하루 5.5~6.0시간), 가벼운 수면 부족(하루 6.8~7.2시간), 적절한 수면(하루 8.0~8.4시간)의 네 그룹으로 분류하고, 취침 시간에 따라 조기 수면 그룹과 지연 수면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수면 시간이 짧거나 늦게 잠들수록 혈당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심각한 수면 부족 그룹은 적절한 수면을 취한 그룹보다 혈당 변동성이 2.87% 증가, 일일 평균 포도당 변동(MODD)이 0.06mmol/L 더 높았다. 또한, 늦게 잠드는 그룹은 조기에 잠드는 그룹보다 혈당 변동성이 1.18% 증가하고, 일일 평균 포도당 변동이 0.02mmol/L 높았다.

 

특히 수면 부족과 늦은 취침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혈당 변동성이 더욱 심화되었다. 연구팀은 불규칙한 수면과 수면 부족이 인슐린 민감성을 저하시켜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들고,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장기적인 수면 패턴이 혈당 변동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불규칙한 수면과 수면 부족은 인슐린 민감성을 저하시켜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들고, 당뇨병 및 대사 증후군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글로벌 홈퍼니싱 기업 이케아가 발표한 ‘이케아 수면의 발견(IKEA Sleep Uncovered)’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수면의 질은 조사 대상 57개국 중 50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평균 수면 시간도 6시간 27분으로 세계 평균(약 7시간)에 비해 1시간 가까이 짧았다.

특히, 스스로 수면의 질이 좋다고 평가한 한국인은 17%에 불과해 조사국 중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대로 라면 건강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로 확장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수면 개선을 위해 규칙적인 취침 습관, 편안한 수면 환경 조성, 전자기기 사용 제한, 카페인·알코올 섭취 조절 등을 실천하도록 권고한다.

 

 

 

케토제닉 식단, 양극성 장애 개선 효과?···저탄고지와 정신 건강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케토제닉(저탄수화물·고지방) 식단이 양극성 장애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