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식물의 세계를 크게 분류하는 기준 중에는 관속식물(관다발식물)과 비관속식물, 은화식물(민꽃식물)과 현화식물(꽃식물), 종자식물과 비종자식물, 피자식물과 나자식물 등이 있다. 한자 용어이기 때문에 어려워 보이지만 영상을 참고하여 이해해보자.
1) 관속식물과 비관속식물
관속식물(管束식물 vascular plant) : 뿌리에서 잎까지 물과 영양이 전달되는 관(管 pipe)의 다발(물관과 체관)이 있는 식물들을 말한다. 고사리(양치류)를 포함한 고등식물이 모두 관속식물이다. 관속식물은 약 300,000종 알려져 있다.
관속식물은 뿌리와 줄기 속에 물과 영양이 이동하는 관다발(물관과 체관)이 복잡하게 발달해 있다.
비관속식물(nonvascular plant) : 하등 원시식물에 속하는 녹조류와 이끼류(선태식물)가 속한다. 비관속식물은 관다발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은 크게 자라지 못한다.
비관속식물에는 숲속 그늘진 곳에 주로 자라는 사진의 솔이끼를 비롯하여 우산이끼, 뿔이끼류 그리고 모든 종류의 조류(藻類)와 해조류가 속한다.
2) 은화식물과 현화식물
은화식물(隱花植物 민꽃식물) : 하등한 식물인 비관속식물을 포함하여 양치식물(고사리, 쇠뜨기류)은 씨를 맺는 꽃이 피지 않는다. 꽃이 없다고 하여 은화식물 또는 민꽃식물이라 하며, 씨 대신 홀씨(포자胞子 spore)를 만들기 때문에 ‘포자식물’이라 불리기도 한다.
잡초인 쇠뜨기는 꽃이 없는 은화식물이다. 오른쪽의 뱀밥이라 불리는 조직은 땅속줄기에서 자라나오며, 끝에 홀씨가 생긴다.
현화식물(現花植物 flowering plant) : 꽃이 피고 씨와 열매를 맺는 모든 식물이 현화식물이다. 은행나무와 소나무를 비롯하여 모든 종류의 꽃나무 및 수목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은행나무와 소나무류는 꽃이 피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화려하게 드러나는 꽃은 아니지만 암꽃과 수꽃이 있다.
3) 나자식물(겉씨식물)과 피자식물(속씨식물)
현화식물 중에 씨가 식물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은 나자식물(裸子植物) 또는 겉씨식물, 씨가 과일 또는 열매 내부에 생기는 것은 피자식물(裸子植物) 또는 속씨식물이라 한다.
볼품없는 들꽃이라 하더라도 꽃을 피우는 식물 무리를 현화식물이라 한다.
피자식물(被子植物 속씨식물) : 대부분의 꽃나무와 수목들이 피자식물이다. 피자식물은 수술과 씨방(암술 아래에)이 있고, 씨방 속에 씨가 되는 다수의 밑씨(배주胚珠 ovules)가 있다. 수술의 꽃가루(화분)가 암술머리에 붙으면, 꽃가루에서 꽃가루관이 자라나오고, 꽃가루관을 따라 내려온 정자가 밑씨와 수정하여 씨로 자란다.
사진에 보이는 식물들은 현화식물 중에 나자식물에 속한다. 이들은 씨가 과일 속에 생기지 않고 밖으로 드러난다. 솔방울 속에 들어 있는 씨, 비자나무의 씨는 나자식물의 씨이다.
나자식물인 소나무의 암꽃(자라서 솔방울이 됨)은 송화(松花)의 꼭대기에 2-3개 생기고, 그 아래는 전부 꽃가루로 덮인 수꽃이다. 소나무숲의 수꽃에서 쏟아지는 송홧가루(꽃가루, 화분)는 주변 호수의 수면을 황색으로 덮기도 한다. 소나무꽃 밑부분에 자란 작은 솔방울은 지난해에 수정된 것이다. 소나무의 씨가 가득 든 솔방울은 둥근 열매라 하여 구과(毬果 cone)라 불린다.
나자식물에 속하는 소나무와 잣나무(송백류)의 구과(솔방울)는 여러 겹의 비늘(종린種鱗) 틈새에 씨가 형성되며, 씨 및 잣은 노출된 상태이다.
4)종자식묵과 비종자식물
비종자식물(非種子植物) : 씨를 맺지 않고 홀씨(포자)를 만들어 번식하는 하등한 식물 무리를 말한다. 속새류(쇠뜨기류), 석송류, 솔잎란류, 양치류(고사리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종자식물(種子植物) : 씨앗을 만드는 식물을 말한다. 은행나무, 소나무류, 소철류 및 모든 피자식물류(속씨식물류)가 여기에 속한다.
이 외에도 종자식물은 줄기의 형태, 잎의 모양, 떡잎의 수에에 따라
목본식물 - 줄기가 있다
초본식물 - 줄기가 없이 잡초처럼 생긴 식물
넓은잎식물(광엽식물) - 잎이 넓은 수목
바늘잎식물(침엽수) - 잎이 바늘처럼 가느다란 수목
외떡잎식물(단자엽식물) - 발아할 때 나오는 떡잎의 수가 1개인 식물(예: 벼)
쌍떡잎식물(쌍자엽식물) - 떡잎이 2개인 식물(예 : 콩)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 YS
완벽한 반숙 계란의 비밀, 최적의 온도와 시간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반숙이냐, 완숙이냐는 취향이다. 입맛 까다로운 사람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리오시티 로버, 화성에서 대형 유기 분자 발견 (0) | 2025.04.09 |
---|---|
NASA, BioNutrients 실험 공개···우주에서 비타민·영양제 만든다 (0) | 2025.04.09 |
완벽한 반숙 계란의 비밀, 최적의 온도와 시간은? (0) | 2025.04.09 |
커피의 과학, 최적의 커피 맛을 내기 위한 조건 (0) | 2025.04.09 |
동아시아인의 특별한 락타아제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의 유산?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