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상어 뒤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포착···사냥률 높이고 에너지 절약

과학 상식

상어 뒤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포착···사냥률 높이고 에너지 절약

sciencewave 2025. 4. 17. 10:03
 

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상어 뒤에 숨어 몰래 사냥하는 물고기가 포착돼 눈길을 끈다. 포식자를 피하면서 사냥감에도 눈에 띄지 않아 높은 사냥 성공률을 보였다.

에든버러대학교를 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지중해에서 모래상어(sandbar shark)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행동을 발견했고 최근 밝혔다. 다이버와 원격조종 잠수정이 촬영한 영상에는 작은 포식성 어류인 블루 러너(blue runner)가 상어를 은폐막으로 활용해 먹이를 노리는 장면이 담겼다.

이전에도 일부 물고기가 상어 주변을 맴돌며 기생충을 제거하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사례는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사냥을 위해 상어를 은폐막처럼 사용하는 모습은 이번이 처음이다.

 

상어 따라다니다가 방향 틀어 먹이 사냥

이탈리아 람피오네섬 인근 해역에서 촬영된 영상에서는 블루 러너가 상어를 따라다니며 사냥에 나서는 장면이 총 34차례 관찰됐다. 이들은 대개 30초 정도 상어 뒤를 따라 이동하다가 갑자기 방향을 틀어 높은 속도로 작은 물고기(주로 그물베도라치류, damselfish 등)를 덮쳤다.

 

 

 

먹이를 공격하기 전, 모래상어 아래 숨어 기회를 엿보는 블루러너.

먹이가 될 물고기들은 상어 뒤 블루러너의 기습 공격에 당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사진=Rocco Canella]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블루 러너는 평소 무리를 지어 사냥할 때보다 상어를 이용했을 때 먹이를 놀라게 할 확률이 훨씬 낮았다. 상어를 가릴 때 먹이가 접근을 감지한 비율은 약 10%에 불과했지만, 무리지어 사냥할 때는 95% 이상이 공격을 눈치채 방어 대형을 형성했다.

연구진은 블루 러너가 상어를 은폐물로 삼으면 사냥 성공률이 높아질 뿐 아니라, 자신을 노리는 포식자로부터 보호받고 상어가 만들어내는 수류를 타고 이동해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모래상어는 블루러너가 따라다니는 것이 성가시지는 않을까 싶지만, 사실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모래상어는 주로 바닥 근처의 게나 작은 물고기 같은 느린 먹이를 사냥하는데, 빠르게 움직이는 블루러너는 사냥 대상으로 삼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쫓지도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상어의 사냥 전략은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재빠른 모래상어가 주변을 맴돌아도 블루러너는 관심 밖이다.

 

 

 

상어 뒤에서 사냥감을 포착하는 블루러너.

 

 

이번 연구는 매년 여름 람피오네섬 주변에 모여드는 모래상어 집단(aggregation)을 수년간 관찰해 얻은 결과다. 해당 지역은 지중해에서 모래상어 집단이 형성되는 두 곳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에든버러대학교와 CNR-IAS 팔레르모 연구소의 파비오 바달라멘티(Fabio Badalamenti) 교수는 "종 간 상호작용이 해양 생태계에서 다양한 사냥 전략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상위 포식자인 상어를 보호하는 것이 해양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따지오네 쫄로지까 안톤 도른(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의 카를로 까따노(Carlo Cattano) 박사는 "이 독특한 상호작용은 상어 집단의 생태학적 중요성을 부각시킨다"며 "남획으로 상어 개체 수가 줄어들면 이런 상호작용이 사라지고, 생태계 전반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태학 저널 Ecology에 게재됐다.

 

 

 

우주로 송출한 지드래곤 노래, 외계 행성까지 닿을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갤럭시코퍼레이션이 협력해 지

sciencewa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