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 폐루프 심부뇌자극(Deep Brain Stimulation, DBS)
- 발작 신호가 발생 시 전기 자극
- 발작 감소, 기억력 향상, 수면 질 개선
메이요클리닉 연구팀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를 위해 신경생리 기반 폐루프 심부뇌자극(Deep Brain Stimulation, DBS)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장치는 발작 억제뿐 아니라 기억력 저하와 수면 장애 개선에도 효과를 보여, 난치성 뇌전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뇌전증은 전 세계 약 5천만 명이 겪는 신경계 질환으로, 기억, 감정, 수면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은 제한적인 치료 옵션만을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메이요클리닉 연구진은 저주파 심부뇌자극을 통해 발작 빈도를 줄이는 동시에 인지 기능과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AI 기반 발작 및 수면 모니터링 기능이 탑재된 이식형 장치를 사용했다. 이 장치는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필요 시 맞춤형 전기 자극을 가한다. 환자의 인지 기능, 기분, 수면 상태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극 설정을 개별 최적화했다.
이 그림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를 위한 폐루프 심부뇌자극 플랫폼을 설명한다.
전극이 시상과 해마에 이식돼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발작 신호가 감지될 때만 전기 자극을 가한다. 환자의 뇌 데이터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전송돼 의료진이 치료를 조정할 수 있다.
오른쪽 그래프는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심부뇌자극을 받은 환자는 기억 점수(오른쪽 차트)가 크게 향상됐으며, 별 세 개(***) 표시는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함(p < 0.001)을 나타낸다.
[자료=Brain Communications (2025). DOI: 10.1093/braincomms/fcaf106]
이번 파일럿 연구에는 측두엽 뇌전증 환자 5명이 참여했다. 환자들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자신의 뇌 활동과 증상을 추적했고, 의료진은 이를 바탕으로 치료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발작 빈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인지 기능과 수면의 질 역시 개선되었다.
연구진은 이번 플랫폼이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으며, 향후 기타 신경정신질환 치료로도 확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의 자세한 내용은 Brain Communications에 실렸다. (DOI: 10.1093/braincomms/fcaf106) 해당 소식은 7일 MedicalXpress를 통해 보도됐다.
상어 뒤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포착···사냥률 높이고 에너지 절약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상어 뒤에 숨어 몰래 사냥하는 물고기가 포착돼 눈길을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요한 새벽 새들의 지저귐, 알고 보면 '목청껏 경쟁 중' (0) | 2025.04.17 |
---|---|
퇴근 후 매일 맥주 한 캔? 뇌 손상 위험 2배 증가 (0) | 2025.04.17 |
상어 뒤 숨어 사냥하는 물고기 포착···사냥률 높이고 에너지 절약 (0) | 2025.04.17 |
우주로 송출한 지드래곤 노래, 외계 행성까지 닿을까? (0) | 2025.04.17 |
감정과 기억이 전부 저장된 뇌의 히포캠퍼스 이야기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