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기온상승 요인들은 기후변화를 악순환시킨다
기온상승을 일으킨 다음과 같은 요인들은 온실가스를 더 발생시키고, 이산화탄소 감축을 방해하여 기온을 더욱 높이는 현상들을 일으켜 악순환이 진행되도록 한다.
* 녹아내리는 빙산
뉴스에서는 거의 매일 남북극의 빙산과 빙하가 너무 많이 녹는다고 야단이다. 과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1979-2000년 사이에 북극바다의 얼음이 한반도 면적의 12배인 250만km2가 녹아버렸다고 추정하고 있다. 녹아버린 빙판은 태양에너지를 제대로 반사하지 못해 기온이 더욱 오르게 하면서, 해수면의 높이를 상승시킨다.
* 심한 가뭄과 사막화
지구 온난화로 나타나는 이상 기후 현상 중에는 심해진 가뭄이 있다. 한발이 계속되면 농작물과 풀이 자라지 못해 농경과 목축에 피해를 입는다. 강과 호수가 마르면 식수와 공업 및 농업용수 부족으로 고통과 손해를 입는다. 사막지대에서는 건조 상태가 더 심화되어 사막이 확장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확장된 사막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지구의 기온을 높이는데 더 큰 영향을 준다.
* 대규모 폭우와 홍수
기온이 상승하면 대기 중에 포함되는 습도가 높아져 지역적으로 기록적인 큰 폭우를 내릴 수 있다. 2011년 태국의 방콕은 유례없는 홍수를 만나 장기간 도시가 물에 잠기게 되어 450억 달러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때 티국의 수상은 한국을 방문하여 4대강 건설 현장을 확인하기도 했다.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이런 폭우와 홍수가 발생하면 그때마다 농경지와 숲의 환경이 피해를 입는다.
* 무더위와 혹한(酷寒)
온실가스의 확실한 영향은 지구의 평균 기온을 상승시켰다는 것이다. 2012년은 기상관측사상 가장 온도가 높았던 해였다. 2010년에는 러시아의 모스코바에서 폭염이 연일 계속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때 노인과 극빈층의 시민 11,000여명이 사망했다고 보도되었다. 2013년 3월에는 유럽대륙에 한파가 계속되어 고통을 겪었다. 이와 비슷한 대규모 폭염과 혹한의 재난은 앞으로 해마다 여기저기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그때마다 냉방과 난방에 에너지를 더 서비하게 되어 온실가스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 인구 증가에 의한 온난화 가속
2011년 10월 31일로 세계 인구는 70억을 넘었고, 2050년에는 90억이 될 것이라고 인구학자는 추정한다. 인구가 늘어나면 온실가스 사용량이 증가하므로 그만큼 지구온난화도 가속될 것이다. 또한 중국과 인도 등은 산업화에 따라 화석연료의 사용이 급증하게 될 것이다.
* 해충과 병균 피해의 확대
기온이 상승하면 열대지방에서는 말라리아와 같은 해충과 전염성 병충해가 더 번성한다. 그러므로 세계적으로 해충과 병균의 위협이 더 확대될 전망이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과 식물의 피해는 온난화를 더 악화시킬 것이다.
* 산성화되는 바닷물
화산연기 속에는 이산화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 기체가 구름 속의 물방울에 녹아들면 황산의 산성비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화석연료를 대량 사용하게 되면서, 그 연기 속에 포함된 이산화황과 산화질소가 빗물에 녹아 황산과 질산으로 변하면서 산성비가 된다.
산성비는 수목의 잎 세포를 죽여 병들게 하고, 철교와 같은 건축물의 철근을 부식시키며, 대리석으로 만든 조각상과 건축물을 서서히 녹이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산성비 피해가 심각해진 1970년대부터 이산화황 방출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화석연료를 워낙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 신생공업국의 공장에서 대량 방출되기 때문에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았다.
산성비 요인 중에는 이산화탄소도 있다. 이산화탄소는 물을 만나면 결합하여 ‘탄산’(H2CO3)이라는 약한 산성을 가진 산성비가 된다(CO2 + H20 ⇋ H2CO3). 산성화된 빗물이 석회암층 틈새로 수백만 년 흐르면, 서서히 석회암을 녹여 종유석(鐘乳石)과 석순(石筍)으로 가득한 기묘한 석회동굴을 형성한다. 이때 석회암이 녹으면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열대지역 삼림 파괴의 기온 상승 영향은?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대지방 삼림 파괴로 발생하는막대한 이산화탄소 열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성 대기·이오 지열 활동, 주노 탐사선이 밝힌 정밀 구조 (0) | 2025.05.08 |
---|---|
영구동토가 녹으면 메탄가스 대발생 (0) | 2025.05.08 |
열대지역 삼림 파괴의 기온 상승 영향은? (0) | 2025.05.08 |
굴뚝 검댕이 기온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5.05.08 |
빙권(氷圈)이 지구의 기온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