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시멘트 생산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2010년의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 시멘트 총 생산량은 33억톤이었다. 이 중에 18억톤을 중국이, 인도가 2억 2,000만톤, 미국은 6,350만톤, 한국은 전체의 1% 정도를 생산했다. 시멘트를 제조할 때는 석회석(탄산칼슘)을 1,000℃ 정도로 가열해야 하므로 화석연료를 대량 소비하게 되고, 동시에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CaCO3 --> CaO(생석회) + CO2
그 결과 1,000kg의 시멘트를 생산하면 900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데, 그 절반은 화석연료가 연소하여 나오는 것이 아니라 석회석이 화학적으로 분해되면서 방출되는 것이다. 이런 문제 때문에 최근에 ‘환경 시멘트’(eco-cement) 또는 ‘그린(green) 시멘트’라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 시멘트는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만드는데, 750℃의 저온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연료가 훨씬 적게 들고, 또 이 시멘트는 굳으면서 주변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성질까지 있다.
인위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원인별 양 자연계에서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소와 산소는 왜 온실가스가 아닌가? (0) | 2025.05.12 |
---|---|
이산화탄소 대량 발생 요인 (0) | 2025.05.12 |
인위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0) | 2025.05.12 |
대멸종을 초래하는 기후변화 (0) | 2025.05.08 |
달고 느끼한 음식 먹으면 뇌 기능 떨어진다 (1)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