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보랏빛 물감을 한 방울 떨어뜨린 듯, 신비로운 색채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보석 자수정. 이 독특한 색감은 순수한 수정에 망간과 철이라는 자연의 손길이 더해져 만들어진 예술 작품이다.
수정과 자수정의 차이는 불순물
자수정은 산화규소(SiO₂)가 주성분인 광물이다. 수정과 자수정의 차이는 속에 섞인 불순물에 있다. 자수정이 보랏빛을 띠는 이유는 그 속에 포함된 망간(Mn)과 철(Fe) 같은 특정 원소들의 영향 때문인데 자수정의 주성분은 산화규소(SiO₂)로, 본래는 무색의 수정이지만, 형성 과정에서 극소량의 철이나 망간이 혼합되면 보랏빛이 나타나는 것이다.
철 이온은 자수정 내부에서 특정 파장의 빛, 주로 파란색과 노란색 계열의 빛을 흡수하고 보라색 계열의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시켜 우리가 보랏빛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이 과정은 자수정이 지하에서 형성될 때 방사선에 노출되며 철 이온이 활성화되고, 전자 배치가 변화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색을 만들어낸다. 자수정의 색상은 철과 망간의 농도, 방사선 노출 정도, 그리고 수정의 결정 구조 상태에 따라 옅은 보라색에서 짙은 자주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리스신화 디오니소스에 얽힌 보석
자수정은 그리스 신화에서 술의 신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전설을 지니고 있다. 디오니소스는 인간에게 모욕을 당한 후, 처음 만나는 인간을 맹수에게 잡아먹히게 하겠다고 결심했다. 그때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에게 참배하러 가던 소녀 아메시스트를 발견했고, 디오니소스는 그녀를 공격하려 했다.
이를 막기 위해 아르테미스는 소녀를 하얀 수정으로 변하게 했고, 디오니소스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며 수정 위에 포도주를 부었다. 그 결과 수정은 아름다운 보랏빛으로 변했으며, 이것이 자수정의 기원이라는 전설이다. 이러한 이유로 자수정은 술에 취하지 않게 해준다는 믿음이 생겨났으며, 서양에서는 보랏빛 때문에 귀족을 상징하는 돌로 여겨졌다.
보석의 빛깔, 화합물의 조합과 원소 종류가 결정
자수정처럼 모든 보석은 화합물의 조합과 그 안에 포함된 원소의 종류 및 전자 구조가 결정한다. 보석의 색은 물질 내부의 특정 원소가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방식, 그리고 광학적 특성에 의해 나타난다.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루비, 사파이어, 오팔 등은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뜨거운 용암에 의해 형성된 대표적인 보석이다.
강옥(커런덤)은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한 회백색 광물로, 여기에 섞이는 원소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크롬이 포함되면 붉은 루비가 되고, 철과 티타늄이 섞이면 파란 사파이어가 되며, 크롬과 베릴륨이 섞이면 녹색의 에메랄드가 된다.
이렇게 태어난 원석은 연마 과정을 통해 화려한 보석으로 완성된다. 표면을 정교하게 연마하지 않으면 빛이 무질서하게 반사되어 색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아 세공 실력이 특히 중요하다. 원석 중에서도 불순물과 흠집이 없는 것을 선별해 정교히 세공하면 보석 특유의 아름다움과 반짝임이 완성된다.
튜브 속 작은 과학, 치약의 원리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매일 아침과 밤, 습관처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강력한 산성 화합물은 무엇일까? (0) | 2025.02.06 |
---|---|
얼음은 왜 물 위에 뜨는가? 만일 뜨지 않는다면? (0) | 2025.02.06 |
튜브 속 작은 과학, 치약의 원리 (0) | 2025.02.06 |
새가 하늘을 나는 원리 (0) | 2025.02.06 |
우주의 탄생은 이론의 탄생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