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매일 아침과 밤, 습관처럼 사용하는 치약. 이 작은 튜브 속에는 치아를 보호하고 입안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과학적 원리가 담겨 있다. 치약은 치아 표면의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고 세균을 억제하며, 입냄새를 개선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치약의 성분들이 우리 구강 건강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자.
젤라틴 성분이 주 재료, 향균제와 감미료 더해
치약은 반고체 상태의 젤라틴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성분을 첨가해 제조된다. 젤라틴은 소나 돼지 뼈의 단백질 성분인 콜라겐(collagen)을 가공해 만든 물질로, 치약 외에도 젤리나 연고 같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치약의 주요 성분으로는 먼저 치아 표면의 치석과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연마제가 포함되며, 이 중 규조토(Diatomaceous Earth)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물질로 사용된다. 치약의 거품을 만들어 치아 표면에 잘 퍼지도록 돕는 SLS(Sodium Lauryl Sulfate)는 세척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샴푸 등 다른 세정제에도 사용된다.
항균 성분으로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항생물질이 포함되어 입안의 세균을 제거하고 충치와 잇몸질환을 예방한다. 또한, 충치 예방의 핵심 성분인 플로르화나트륨(NaF)과 같은 불소는 치아 에나멜을 강화하고 재광화 과정을 촉진한다.
감미료와 박하(멘톨) 향은 치약의 맛과 냄새를 개선해 사용감을 높이며, 색소는 치약의 외관을 더 보기 좋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치약 발명 전에는 소금으로 양치
치약이 발명되기 전, 사람들은 치아를 닦기 위해 주로 소금을 사용했다. 소금은 세균 억제와 치아 표면 세정에 효과적이었지만, 현대 치약처럼 편리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오늘날과 같은 튜브형 치약은 1900년경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구강 위생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1914년에는 불소(플로르화나트륨, NaF)가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많은 치약에 소량 포함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불소는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특히 유아용으로는 불소 함유 치약이 적합하지 않아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음식물이 입안에 남아 있으면 세균이 번식하며 산성 물질을 생성하는데, 이는 치아의 단단한 표면인 에나멜을 녹여 충치로 이어질 수 있다. 치약은 이런 산성 환경을 중화하고 세균을 억제하며, 치아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기 전 양치질을 통해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막는 습관은 충치 예방의 핵심이다.
새가 하늘을 나는 원리
Home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세상을 과학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하늘을 나는 새는 인류
sciencewave.tistory.com
'과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음은 왜 물 위에 뜨는가? 만일 뜨지 않는다면? (0) | 2025.02.06 |
---|---|
영롱한 보랏빛, 자수정 색에 숨겨진 화학 (0) | 2025.02.06 |
새가 하늘을 나는 원리 (0) | 2025.02.06 |
우주의 탄생은 이론의 탄생 (1) | 2025.02.06 |
은은 왜 변색되는 걸까?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