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분류 전체보기 842

버클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버클륨(버킬리엄 Berkelium, Bk)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7󰋯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47󰋯 밀도:알파(14.78 g/cm-3) / 베타(13.25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27, 8, 2󰋯 mp:986℃ / 󰋯 bp:?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 시의 캘리포니아 대학 방사선연구소의 화학자 시보그(Glenn T. Seaborg 1912-1999)와 톰슨(Stanley Thomson 1912-197..

과학 상식 2025.06.12

내 코가 석 자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내 코가 석 자​​우리 나라와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자' 또는 '척'이란 단위의 근원은 팔꿈치에서 손목까지의 길이이다. 흔히 사용하는 속담 중에 아주 쉽다는 뜻으로 '삼척동자도 안다'는 말이 있다. 삼척동자란 키가 석 자인 어린이를 뜻한다. 낚시질을 할 때 큰 물고기를 잡으면 '월척(越尺)'을 낚았다고 하는데 정확한 의미는 크기가 한 척이 넘는다는 뜻이다. 또한 옛날 무사들이 옆구리에 차고 다니던 칼의 길이가 석 자 정도 되는 길이였기 때문에 '석 자 칼이 사람을 해친다'는 말도 있다. 이외에..

과학 상식 2025.06.12

세 치의 혀로 나라를 구한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세 치 혀로 나라를 구한다​​서로 의견이 다른 사람들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설전을 벌이는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다'는 말은 조금도 양보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한 친척들 사이에 촌수가 조금 멀어지는 것을 '한 치 건너 두 치'라고 한다. 이외에도 일상회화에서 '치'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말을 잘 하는 사람에게는 '세 치 혀를 잘 놀린다'고 한다. 짧은 혀로 말을 잘 해서 일이 제대로 처리되었다는 뜻이다. 그래서 속담 중에는 '세 치 혀로 나라를 구한다'는 말도 있다.피..

과학 상식 2025.06.12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치 가슴 속은 모른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치 가슴 속은 모른다​​ ​물이 맑으면 깊은 물 속에서 노니는 물고기의 모습도 선명하게 잘 보이지만 사람의 작은 가슴 속에는 무슨 생각을 품고 있는지 도저히 알 수 없을 때,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치 가슴 속은 모른다'는 속담을 사용한다. 이 속담에 등장하는 '길', '치' 등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유래된 길이의 단위이다. 이외에도 '자', '발' 등 과거에 사용되던 단위는 우리 몸의 각 부위를 기본단위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인체보다 훨씬 긴 길이를 나타낼 때는..

과학 상식 2025.06.12

원자와 원소 관련 중요 용어 해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원자와 원소 관련 중요 용어 해설​가속기(입자가속기, 가속장치):고압의 전류로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전자나 양성자와 같은 전기를 띤 입자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하도록 만든 장치를 말한다. 긴 관으로 되어 있는 선형가속기(linear cyclotron)와 원형으로 만든 원형가속기(synchrotron) 두 가지 형으로 크게 나뉜다. 소규모 가속기는 암 수술에, 대형 가속기는 원자의 연구,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등에 이용된다. 최초의 가속기는 헝가리 출신의 물리학자 질러드(Leo Szilard 1898..

과학 상식 2025.06.10

플라보노이드의 비밀…하루 두 잔의 차, 한 줌의 베리로 수명 늘린다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플라보노이드 섭취 다양성, 사망률 16% 감소차·베리·사과·다크초콜릿 조합이 핵심 식단플라보노이드 500mg, 다양한 식품으로 하루 충족 가능​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로,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식품들 속에 숨어 있다. 아침 식탁에 자주 오르는 사과, 점심 후 한 잔의 녹차, 간식으로 즐기는 블루베리나 다크초콜릿 모두가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 식품이다. 이 성분은 항산화 작용뿐 아니라 염증 조절, 혈관 기능 개선, 면역 균형 유지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발휘한다. ​최근 국제 ..

1초에 100번 도는 별, 헬륨별과 함께 공전 중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헬륨별과 함께 도는 ‘초고속 펄서’ 발견… 극단적인 쌍성계 첫 확인​중국 천문학자들이 밀리초 펄서와 헬륨 중심 항성으로 이루어진 극단적인 이중성계를 세계 최초로 관측했다. 밀리초 펄서는 초신성 폭발 후 생성된 중성자별로, 자전 속도가 매우 빨라 1초에 수백 번 회전하며 극 방향으로 강한 전파를 방출한다. 이번에 발견된 펄서는 자전 주기가 단 10.55밀리초로, 1초에 약 95회 자전한다. ​연구팀은 이 펄서를 2020년 처음 관측했고, 이후 전파 신호가 궤도의 일부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차단된다는 사실을..

천문학 2025.06.10

실험동물(lab animal)을 대신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새로운 치료약을 개발할 때는 신약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쥐, 기니아피그, 토끼, 개, 돼지, 침팬지 등의 동물(실험동물)에게 먼저 처방하여 효과를 검정한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 이들 실험동물은 신약의 효과만 아니라 새로운 진단장치 개발과 조직 이식 수술법 등을 연구할 때도 이용된다. 의약과 치료기술 개발에 소비되는 실험동물의 수는 연간 수억만 마리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양육하는 비용 또한 막대하다. 국제 동물애호 및 이용 위원회(Animal Welfare Act)에서는 실험동물의 희..

퀴륨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퀴륨(퀴리엄 Curium, Cm)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6󰋯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47󰋯 밀도:13.51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25, 9, 2󰋯 mp:1,340℃ / 󰋯 bp:3,110℃ 퀴륨(퀴리엄)은 악티늄족에 속하는 초우라늄원소의 하나이다. 이 인공원소는 1944년에 캘리포니아 대학의 과학자들인 시보그(Glenn T. Seaborg 1912-1999), 제임스(Ralph A. James)..

과학 상식 2025.06.10

아메리슘 원소의 성질과 이용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아메리슘(애머리시엄 Americium, Am) 원소의 성질과 이용​ 󰋯 원자번호:95󰋯 족:3족(7주기), 전이원소(악티늄족)󰋯 원자량:243󰋯 밀도:12 g/cm-3󰋯 각 전자궤도의 전자 수:2, 8, 18, 32, 25, 8, 2󰋯 mp:1,176℃ / 󰋯 bp:2,607℃ 아메리슘(애머리시엄)은 다른 초우라늄 원소와 마찬가지로 인공원소이다. 초우라늄 원소로서 넵투늄, 플루토늄, 퀴륨에 이어 4번째로 발견된 아메리슘은 미국 국명이 그 이름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과학 상식 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