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블로그는 제휴 마케팅을 포함한 광고를 활용하며, 그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관측' 태그의 글 목록

관측 9

은하수 중심부 5월 하순에 볼 수 있다…어디서, 어떻게 볼까?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5월 말, 육안으로 은하수의 구조를 볼 수 있는 짧은 시기가 도래한다.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매년 이맘때, 우리은하의 중심부가 자정 이후 하늘에 떠오른다. 달빛은 사라지고, 대기의 흐름은 안정되며, 밤은 길지 않지만 충분히 어두워진다.​2025년은 5월 20일부터 30일까지가 그 시기다. 이 열흘은 하현과 삭(그믐) 사이로, 달빛의 간섭이 거의 없다. 이 조건은 미국 캘리포니아뿐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궁수자리 방향의 은하수 중심부가 남동쪽 지평선 위로 올라오며, 새벽 3시 무렵..

천문학 2025.05.27

목성, 탄생 초기엔 지금 두 배 크기…태양계 설계도 복원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금 우리가 아는 태양계는 완성형이 아니다. 약 45억 년 전, 태양과 행성들은 거대한 가스와 먼지의 원반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도 목성은 가장 큰 행성이자, 다른 행성들의 궤도까지 바꿔놓을 정도로 중력이 강한 존재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거대 행성이 태양계의 구조를 설계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을 것으로 봐 왔다.​그렇다면, 목성은 태초부터 지금 같은 모습이었을까?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와 미시간대학교 연구진은 목성이 형성 초기엔 지금보다 두 배 가까이 크고, 자기장도 ..

천문학 2025.05.26

관측 편향이 만든 착시···탄소질 운석의 미스터리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우주는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으로 가득하다. 이른바 '탄소질 소행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흔한 소행성 유형 중 하나다. 이들은 물, 유기물, 아미노산 같은 생명과 관련된 성분을 품고 있어 과학자들이 특히 주목하는 대상이다. 그런데 정작 지구에서 실제로 발견되는 탄소질 운석은 전체의 5%도 채 되지 않는다. ​이유는 무엇일까? 프랑스 파리천문대와 호주 커틴대학교 연구팀은 이 차이가 소행성 자체의 분포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운석이 어떤 방식으로 '걸러지는가'에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른바 '관측 편향(observation..

천문학 2025.04.24

솜브레로 은하를 아시나요?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빛과 어둠이 수평으로 맞닿은 곳. 중심에는 밀도 높은 빛이 집약돼 있고, 그 위로 얇고 어두운 띠 하나가 정밀하게 가로지른다. 중심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따라 둥글게 솟아 있고, 그 둘레를 따라 먼지가 얇게 퍼져 있다. 전체 구조는 납작하고 평평하며, 위에서 보면 넓은 원반 형태지만, 측면에서는 챙 넓은 모자가 기울어진 듯한 형상을 드러낸다.​멕시코 전통 모자 ‘솜브레로’를 닮아 솜브레로 은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구에서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방향에 위치하며, 메시에 104번(M104)으로 분류된다. 멕시코 전통모자. ..

천문학 2025.04.23

제임스 웹 외계 신호 포착, K2-18b 생명체의 흔적일까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영화 속 외계인과 과학자들이 찾는 생명체 달라 제임스 웹, K2-18b에서 생명 분자 DMS 포착​우리가 상상하는 외계 생명체는 대개 인간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팔, 다리, 눈을 가진 존재가 다른 행성 어딘가에 살고 있으리라 믿는다. 하지만 실제로 과학자들이 찾는 생명체는 훨씬 단순하다. 그들은 미세한 분자, 특히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화학 물질을 통해 생명의 존재 가능성을 탐색한다. ​최근 캠브리지 대학교 연구팀이 흥미로운 데이터를 발표했다. 지구에서 약 124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 K2-18b에서 특이한 분자 신호가 포착됐다는 내..

천문학 2025.04.23

제임스 웹, 별 탄생 막는 은하 중심부 자기장 첫 포착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은하 중심부에서 별 탄생을 억제하는 강한 자기장을 처음으로 관측했다.​구름과 먼지에 가려졌던 사수자리 C 지역을 뚫고, 어린 별의 분출 활동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별이 거의 태어나지 않는 은하 중심부의 구조를 새롭게 이해하게 됐다.​제임스 웹, 구름 뚫고 어린 별 포착 연구팀은 2023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수자리 C(Sagittarius C) 별 탄생 지역 이미지를 분석했다.​이 지역은 우리 은하 중심부, 이른바 '중심분자구역(Central Molecular Zone)'에 위치해 있으며,..

천문학 2025.04.16

아르테미스 기반 초대형 간섭계, 달에서 별·은하 관측한다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달이 우주의 착륙지로서뿐 아니라, 정밀 우주 관측의 거점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이 머무를 수 있는 달 기지를 구축하고, 그 위에서 다양한 과학 활동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다.​그중 하나가 바로, 달을 활용한 초고해상도 천체 관측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별빛이 흐려지지 않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망원경을 설치하면 공기 흔들림 없이 광학 관측이 가능하다. 중력도 있어 정밀 장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지구나 궤도 위성으로는 어려운 짧은 파장의 빛까지, 더 높은 해상도로 포착할 ..

천문학 2025.04.14

오로라 관측, 민간 우주비행사 4명이 극지 궤도에서 기록한 첫 실험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지난달 31일에 발사된 스페이스X의 Fram2 임무가 현재 극지 궤도를 따라 비행 중이다. 이 궤도에 탑승한 민간 우주비행사들은 남극과 북극 상공을 오가며 고위도 대기에서 발생하는 오로라를 관측하고, 고해상도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위성 관측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세부 구조와 변화 양상을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장비로 실시간 수집하는 실험이다. 이번 임무는 지상의 시민 관측자들과도 연계된 동시 관측 실험으로, 오로라 연구 방식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오로라 구조, 위성으로는 볼 수 없던 세부 포착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가..

천문학 2025.04.14

우주 팽창의 비밀, 유클리드가 밝히는 ‘어두운 우주’의 실체

Hom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유럽우주국(ESA)이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유클리드(Euclid, ESA 유럽우주국이 주도하고, NASA가 협력한 우주망원경 임무)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 데이터를 공개했다. NASA도 함께 참여한 이번 미션은, 우주가 왜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최근 공개된 이번 데이터는 유클리드가 본격 임무에 앞서 관측한 일부 하늘 구역을 담고 있다. 아직은 ‘예고편’ 격이지만, 벌써 2,600만 개의 은하를 포착했다. 가장 먼 은하는 무려 105억 광년 떨어져 있다.​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이 우주 ..

천문학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