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
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
sciencewave.kr
5월 말, 육안으로 은하수의 구조를 볼 수 있는 짧은 시기가 도래한다.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매년 이맘때, 우리은하의 중심부가 자정 이후 하늘에 떠오른다. 달빛은 사라지고, 대기의 흐름은 안정되며, 밤은 길지 않지만 충분히 어두워진다.
2025년은 5월 20일부터 30일까지가 그 시기다. 이 열흘은 하현과 삭(그믐) 사이로, 달빛의 간섭이 거의 없다. 이 조건은 미국 캘리포니아뿐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궁수자리 방향의 은하수 중심부가 남동쪽 지평선 위로 올라오며, 새벽 3시 무렵에는 남쪽 하늘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한다. 육안으로 흐릿한 띠 형태의 별무리가 보이는 건 이때뿐이다.
서울 기준으로 중심부가 지평선 위에 처음 떠오르는 시각은 대략 자정. 이후 두세 시간 동안 점점 고도가 올라가며,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이 시간대를 놓치면 다음 기회는 한 달 뒤로 미뤄야 한다.
이 이미지는 은하의 3차원 구조를 2차원으로 단순화한 지도다
태양계는 은하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2/3쯤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Orion Spur라는 별의 다리 형태 지대에 있다.
은하수 중심부, 어디서 어떻게 봐야 할까?
대도시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은하수를 구성하는 별들은 대부분 5~6등급의 광도로, 육안으로는 볼 수 있지만 광공해에는 취약하다.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는 3등급 이하 별만 식별 가능한 수준으로, 은하수 띠 전체는 물론 중심부도 전혀 보이지 않는다.
관측을 위해선 도심에서 벗어난 어두운 지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가능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빛공해가 적은 지역 (인구 밀도 낮고 가로등 없는 산간·해안 지역)
- 남쪽 하늘을 향한 시야가 트인 개활지
- 고도 300m 이상이 이상적이지만 필수는 아님
국내에서는 강원도 평창·홍천, 경북 봉화·영양, 전북 진안·무주 등이 대표적인 후보지다. 제주도 한라산 일대도 가능하지만 기상 변수 확인이 필수다. 시야를 가리는 구조물이 없어야 하므로, 산속보다는 산자락의 평지형 캠핑장이 유리하다.
5월 20일부터 30일 사이, 달빛이 약한 밤하늘에서 은하수 중심부가 육안으로 관측 가능하다. 자정부터 새벽 4시 사이 남쪽 하늘을 향해 시야가 트인 어두운 장소를 찾는 것이 핵심이며, 관측 전 20분간의 암적응과 광공해 회피가 필수다.
은하수 관측의 핵심은 기술과 조건
현장에 도착했다면 먼저 스마트폰 화면과 차량 조명을 모두 꺼야 한다. 눈은 어둠에 적응하는 데 최소 20분이 필요하다. 이 시간 동안 강한 조명에 노출되면 동공이 수축해 은하수의 희미한 띠를 감지하지 못한다. 필요할 경우 빨간색 필터가 달린 랜턴을 사용한다. 붉은 파장은 야간 시각세포를 자극하지 않는다.
은하수의 방향을 잡으려면 별자리 앱을 활용한다. Stellarium(스텔라리움)이나 Sky Guide(스카이 가이드)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궁수자리 중심부와 여름철 삼각형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초보자는 거문고자리 베가, 백조자리 데네브, 독수리자리 알타이르—이 세 별이 만든 여름철 삼각형을 먼저 찾는 것이 좋다. 이 삼각형이 은하수를 가로지른다.
사진 촬영은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시각적 기록을 원한다면 장비 세팅이 필요하다. 삼각대에 고정한 미러리스 또는 DSLR 카메라에 광각 렌즈를 사용하고, ISO 3200 이상, 셔터 속도 20초 이내, 조리개는 최대 개방으로 설정한다. 스마트폰의 야경 모드로는 별 일부는 담을 수 있지만, 은하수 구조 전체는 표현되지 않는다.
관측 당일의 기상 조건도 변수다. 기상청의 중기예보를 사전 확인하고, 맑은 하늘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이다. 고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구름 발생률이 높으므로, 위치보다 날씨가 우선이다.
3D 프린터 유해성, 얼마나 심각할까?
세상을 보는 과학의 눈 - Science Wave사이언스 웨이브(Science Wave)는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최신 과학뉴스와 쉽고 재미있는 과학상식을 전달합니다.sciencewave.kr 3D 프린터는 최근 수년간
sciencewave.tistory.com
'최신 과학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 상어, 해변으로 밀려와…반복되는 죽음, 원인은? (0) | 2025.05.27 |
---|---|
전파도 X선도 없다… 감마선으로 찾은 '숨은 펄서' (0) | 2025.05.27 |
제 나이보다 늙어보이는 노안···암 예후도 나빴다 (1) | 2025.05.26 |
임신 중 대기오염, 아이 폐에 유전적 흔적 남긴다 (0) | 2025.05.26 |
목성, 탄생 초기엔 지금 두 배 크기…태양계 설계도 복원 (0) | 2025.05.26 |